역대 대통령 당선 또는 취임 직후 美 대통령과 통화 달리 李 대통령 취임 사흘 넘도록 통화 계획 없어 정치권 외교가, "李 친중 노선 경계 표시인가" 관측 나와 국힘선 "코리아 패싱 신호인가" 해석까지 통화 대신 美 재무부는 한국을 '환율관찰대상국'으로 재지정 트럼프 시진핑과의 통화를 우선 순위기 둔 탓 해석도
  • ▲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연합뉴스
    ▲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한 지 사흘이 넘도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다양한 억측과 해석이 나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당면한 현안인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의 통화에 집중하느라 상대적으로 한국 새 대통령과의 통화가 늦어질 뿐이라는 해석과 동시에, 역대 대통령이 취임 직후 곧바로 이뤄졌던 것과 이례적으로 다른 모습이라는 점에서 한미 관계의 항로를 걱정하는 시각도 벌써부터 노출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이 한미 관계의 중요성을 여러차례 밝혔음에도, 더불어민주당 대표 시절이나 대선 선거 운동때 이른바 '셰셰'로 통칭되는 친중 노선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길들이기'를 하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정치권과 외교가 등에 따르면 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는 6일 오후까지도 진척되는 모습이 보이지 않고 있다. 

    역대 대통령의 경우 같은 민주당 정권이었던 문재인 전 대통령의 경우 취임 당일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를 했고, 윤석열 전 대통령은 취임 전인 당선인이 된 지 5시간 만에 통화를 했다. 박근혜 대통령도 당선 다음날 통화를 하는 등 한미 정상은 좌우 정권에 관계 없이 최우선적으로 통화를 함으로써 동맹 관계를 보여줬다. 

    하지만 미국측은 이 대통령이 취임식을 한 이후에도 외려 어색한 모습을 연출했다. 심지어 미 백악관은 지난 3일(현지시각) 대선 결과에 대한 입장에 대해 "한미동맹은 철통같이 유지된다"면서도 "한국은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진행했지만, 미국은 전 세계 민주주의 국가들에 대한 중국의 개입과 영향력 행사에 대해서는 여전히 우려하며 반대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새로 취임한 정부에 대해 '중국의 입김'을 강조하고 나선 것은 지극히 이례적이다. 

    타미 피갓 국무부 수석 부대변인은 5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에서도 "이 대통령 당선과 관련된 백악관 반응은 친미보다 친중 성향일 수 있다는 현실적 우려를 반영한 것인가"라는 취재진 질문에 "제가 말할 수 있는 것은 '미국은 이 대통령이 한국의 대통령으로 당선된 것을 축하한다'는 것"이라고 답했다. 

    미국측은 특히 이날 아침 한국을 환율관찰대상국으로 재지정하기도 했다. 한국은 2016년부터 7년간 환율관찰 대상국에 올랐으나, 2023년 11월과 2024년 6월 2회 연속 명단에서 빠졌다. 그러다가 2024년 11월 다시 목록에 등재됐다. 물론 환율 관찰 대상국 재지정의 경우 기존 정책의 연장선상이고, 다른 국가들과 함께 지정됐다는 점에서 이재명 정부 출범과 연결시키는 것이 무리다. 하지만 출범 직후 한국을 향한 첫 조치가 환율관찰국 재지정이란 점을 썩 개운치 않다. 

    상황이 이러자 국민의 힘에서는 이날 통화 지연에 대해 일제히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를 쏟아냈다. 

    국회 대표적 외교통인 나경원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한미동맹이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이 대통령의 사법 리스크뿐 아니라 외교·안보 리스크가 현실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안철수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대통령실은 통화 지연에 대해 시차 문제라고 해명하지만, 국민을 납득시키기 어려운 궁색한 변명이다. '코리아 패싱'이 시작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심각한 신호가 아닐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한동훈 전 대표도 페이스북에서 "백악관은 '중국의 영향력' 우려를 언급하기도 했다. 새 정부 노선에 대한 의구심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외교가에서는 결국 이 같은 우려가 기우일지, 심각한 문제일지는 한국시간 6일 밤부터 주말 사이 명확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