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동자 노릇 두 번이나 … 이게 언론?"식인귀"→ "황제폐하 만세" 이런 프랑스 신문의 최후는?4.19 후 서울신문의 운명은?
  • ▲ 뉴데일리 칼럼 조선일보 사설면 하단 프린트 버전입니다. 클릭하면 확대 됩니다

  • ▲ 서울대 대학원생들의 기자회견. ⓒ 이종현 기자
    ▲ 서울대 대학원생들의 기자회견. ⓒ 이종현 기자

    ■ 언론의《얍삽함》

    3월 14일 서울대학교 학부생들과 대학원생들이 국회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했다. 
    윤석열 대통령탄핵을 각하하라는 질타였다. 

    그러나 대학생들은 이날 또 하나의 중요한 의제(議題)를 던졌다. 
    언론 현실에 대한 준엄한 논고였다.  

    그들은 "언론이 가짜 뉴스로 국민의 눈과 귀를 속인다 ." 라 비판하면서 이렇게 지적했다,

    ※ "SBS 스브스뉴스는 여론조사를 하다가,《탄핵반대》비율이 높아지자 슬그머니 덮어버렸다 ."
    ※ "어떤 언론은 윤석열《대통령》호칭을 쓰지 않다가 지지도가 높아지니까 슬쩍 갖다 붙였다."
    ※ “언론은 학생들의 부정선거 거론을 불문곡직 《극우 음모론》으로 몰아쳤다.” 
    ※ “윤석열 대통령 복귀하면 국민이 편파 보도-가짜 뉴스에 함몰되지 않게《개혁》해야 한다.” 
      
    1815년 3월9일 나폴레옹이 엘바섬을 탈출하자, 일간지《르 모니퇴르》는  그를《식인귀》라 불렀다.
    호칭이 하루하루 달라졌다. 
    《→괴물→폭군→찬탈자→보나파르트》로. 
    그가 파리 퐁텐블로 궁에 입성했을 땐《황제 나폴레옹》이라 불렀다. 
    얍삽함을 오늘의 한국 언론이 그대로 닮았다면?
     

  • ▲ 당시 프랑스의 최대 일간지《르 모니퇴르》의 1면 톱기사 제목의 변천은 언론역사에 최대의 굴욕거리로 두고두고 회자되고 있다. ⓒ 나무위키 갈무리
    ▲ 당시 프랑스의 최대 일간지《르 모니퇴르》의 1면 톱기사 제목의 변천은 언론역사에 최대의 굴욕거리로 두고두고 회자되고 있다. ⓒ 나무위키 갈무리
    ■ 언론, 이제 외면 당할 것

    언론이 대학생들의 비판을 우습게 봤다간 큰 실착(失錯)이 될 것이다. 
    《4.19》를 잊었는가?  

    학생들의《국민저항권》은 1960년 2월 28일 대구 경북고등학교 학생들의 시위로 발동했다. 
    언론들은 그것을 예사롭지 않게 보았다.  
    두 달 뒤《고대생 4.18 시위》가 터졌다. 
    이 행렬을 자유당 깡패들이 폭행했다. 

    이튿날 4.19 날엔 서울 시내 전 대학생들이 종로로, 시청 광장으로, 광화문으로, 청와대로 진군했다. 
    경찰이 실탄을 쐈다. 
    결과는 이승만 대통령 하야였다.  
     
    ■ 왜《극좌 탄핵공작》에 연거푸 가담?

    그때의 언론의 자유 저항 정신은 어디로 갔나? 
    오늘의 언론은《극좌 탄핵공작》에 영합, 선두에 섰다. 
    자유 진영 두 대통령을 연거푸 몰아냈다. 
    가짜 뉴스와 여론몰이로. 

    이게 옳았나? 
    대학생들은 “노(no)!”라 선언했다.  
     
    이런데도 언론이 4.19 당시의《미운 자》들 편처럼, 프랑스의《르 모니퇴르》처럼 처신한다면? 
    답은 언론이 더 잘 알 것이다. 

    대학생들은 기자회견에서《언론개혁》이란 말을 썼다. 
    타율적 변화를 뜻했다. 
    《타율적》변화는 반드시 최선만은 아니다. 
    그에 앞선《자율적 발전》이 더 좋은 길이다. 
      
    2025년의 대학생들은 왜 언론을《비판의 표적》으로 쳤을까? 
    그들은 왜 언론을《공감의 파트너》로 보지 않았을까? 
    언론은 이점을 뼈아프게 자문(自問)해야 할 것이다. 
    1960년 4.19 당시와 너무 다른 언론 현실이다.


  • 서울대 학부학생들의 기자회견. ⓒ 이종현기자
    ▲ 서울대 학부학생들의 기자회견. ⓒ 이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