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J, 50개국 54개 언론노조 대상 조사… 여행 지원, 콘텐츠 제휴, 자금 지원 등으로 논조 바꿔
  • ▲ 국제기자연맹(IFJ)이 지난 12일 공개한, 중국의 국제적 여론조작 관련 보고서 표지. ⓒIFJ 보고서 캡쳐.
    ▲ 국제기자연맹(IFJ)이 지난 12일 공개한, 중국의 국제적 여론조작 관련 보고서 표지. ⓒIFJ 보고서 캡쳐.
    우한코로나(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이 일어난 뒤 중국 당국이 전 세계적인 여론조작에 나선 것이 드러났다고 국제기자연맹(IFJ)이 폭로했다. 연맹에 따르면, 중국은 세계 각국 언론사에 접근해 각종 편의를 제공하거나 자금을 지원함으로써 그 논조에 영향을 끼쳤다.

    IFJ, 50개국 기자 여론조사 “팬데믹 이후 중국에 긍정적 논조로 변했다” 56%

    벨기에 브뤼셀에 본부를 둔 IFJ가 지난 12일(현지시간) ‘코로나 이야기: 마스크 쓰지 않은 중국의 범지구적 전략’이라는 보고서를 공개했다고 에포크타임스가 전했다. 

    연맹은 보고서를 통해 50개국 54개 노조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한 뒤 “중국은 우한코로나 팬데믹이 일어나자 자국에 긍정적인 보도를 내기 위해 해외 언론을 조종하려 했다”고 폭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56%가 우한코로나 팬데믹 이후 중국 관련 보도가 긍정적으로 변했다고 답했다. 반면 부정적으로 변했다는 응답자는 24%, 변함이 없었다는 응답자는 20%였다. 각국 언론에 중국 관영 매체가 영향력을 끼친다는 응답도 76%였다. 이는 2019년의 64%보다 12% 오른 수치다. 

    각국 기자의 20%는 “중국이 현지 대사관이나 외교관을 통해 언론 보도에 항의하고 압박하는 식으로 자국 관련 사실을 왜곡하거나 과장해 긍정적 뉴스로 만들어 버린다”고 응답했다.

    중국, 각국 기자들에 중국여행 지원… 군소 언론사에는 운영자금 지원

    중국 관영 매체는 공산당 중앙선전부가 감독한다. 중국 공산당 중앙선전부는 우한코로나 팬데믹 이후 각국 기자들에게 무료 또는 저비용 중국여행을 지원하고, 언론사와는 콘텐츠 제공 협약을 맺었다고 한다. 또한 각국에서 ‘언론 진흥’을 명목으로 군소 언론사에 기자 교육, 운영자금 지원 등을 제시하며 관계를 맺어 영향력을 확대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연맹은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3분의 1이 자신이 속한 언론사가 중국 정부나 기관과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답했다. 일부 기자는 이 MOU에 따라 중국연수를 다녀왔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중국의 여론조작 사례 중 하나로 이탈리아 상황을 설명했다. 보고서는 “중국발 가짜뉴스는 우한코로나보다 더 빨리 여기에 다다랐다”는 이탈리아 기자의 말을 소개했다. 

    한 이탈리아 기자는 “우한코로나가 대유행하자 중국은 국제적인 미디어 인프라를 활용해 이탈리아 중앙언론에 중국을 대상으로 한 긍정적 이야기를 퍼뜨리고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전략을 구사했다”면서 “상황은 이미 ‘가짜뉴스 대유행(fake news infodemic)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
  • ▲ 지난해 11월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방한했을 때 자리를 안내하는 문재인 대통령. 구도가 이상한 이 사진을 두고도 말이 많았다.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난해 11월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방한했을 때 자리를 안내하는 문재인 대통령. 구도가 이상한 이 사진을 두고도 말이 많았다.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해 우한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한 뒤 중국 공산당 관계자들이 이탈리아 기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접근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중국에 우호적인 특집기획 기사를 이탈리아에서 보도하기 위해 언론사와 기자들에게 호의적 태도를 보이며 협조를 요청했다는 것이 현지 기자들의 설명이었다. 

    한 기자는 “우리 회사는 중국 측 인사의 요청을 받아들인 결과 황금시간대에 시진핑의 신년사를 뉴스로 보도했다”고 밝혔다.

    IFJ “응답자 80%, 중국의 가짜뉴스 유포 우려”… 소수 국가만 중국 언론 규제

    이밖에도 각국 기자들은 “중국이 일대일로 사업과 관련한 투자, 백신외교를 포함해 중국과 외교로 입는 혜택들과 관련한 가짜뉴스를 퍼뜨렸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중국의 가짜뉴스 유포와 관련, 여론조사 응답자의 80% 이상이 우려를 표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런 중국 관영 매체를 규제하는 나라는 미국·영국·독일밖에 없다. 미국은 지난해 15개 중국 관영 매체를 ‘외국정부 대행기관’으로 지정했고, 신화통신 등 5개 관영 매체 소속 기자를 대상으로 비자 수량을 제한했다. 영국은 지난 2월 중국중앙방송(CCTV)의 국제판인 중국국제텔레비전(CGTN)의 방송 면허를 취소했다. 독일 또한 CGTN의 자국 내 방송을 중단했다.

    한편 한국 언론 가운데 중국의 영향을 받는 언론사가 몇이나 되는지는 파악된 바가 없다. 다만 최근 강원도 차이나타운 사건으로 주목받은 저우위보 인민망(인민일보 온라인판) 한국대표처 대표가 국내 언론사들과 제휴 MOU를 맺는 사진이 인터넷에 공개돼 주목받았다. 

    에포크타임스에 따르면, 15개 국내 언론사가 인민망과 제휴 MOU를 맺었고, 저우위보 대표가 직접 꾸준히 기고한 일간지 계열 매체도 3곳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