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정보본부 "러, 탄도미사일 기술 지원 가능성"
-
- ▲ 김정은의 현지지도 아래 지난 10월 31일 아침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포-19형'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단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일 보도했다. 이날 시험발사에 딸 김주애도 참관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군 당국은 북한이 지난달 31일 시험 발사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9형'을 기존 미사일의 개량형이 아닌 신형이며 신규 엔진 시험을 하지 않고 발사했다고 평가했다.11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국방정보본부는 북한이 새로운 엔진 시험 없이 화성-19형을 발사한 것으로 파악했다.정보본부는 지난 3월 이후 지금까지 북한에서 추가로 식별된 고체연료 엔진 시험 정황은 없다면서 "미사일 동체 길이와 직경 증가, 최대 고도 증가 등을 고려할 때 화성-19형은 화성-18형과 다른 신형 ICBM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북한은 지난 1일 화성-19형이 시험발사 당시 최대 정점고도 7687.5㎞ 상승해 1001.2㎞를 85분 9초간 비행했다며 '새로운 초강력 공격 수단', '최종 완결판 ICBM', '초강력의 절대병기'라고 주장했다.북한은 지난해 11월 15일 중거리 탄도미사일용 엔진 지상 분출시험을, 지난 3월 20일 신형 중장거리 극초음속 미사일용 다단계 엔진 지상 분출시험을 공개했다.이에 따라 북한이 추가 엔진 시험 없이 개량형이 아닌 신형 ICBM을 개발해 곧바로 쏘아 올렸고, 역대 최고 비행고도를 기록했다는 점은 러시아로부터 엔진을 통째로 제공받았기 때문이라는 의혹이 제기됐다.이와 관련, 우리 군은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우주 기술 분야 협력'이라는 명목하에 탄도미사일 개발에 전용될 수 있는 기술들을 지원받고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북한 김정은은 지난해 9월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다. 또 지난 1월 북한 외무상 최선희가 러시아를 방문해 푸틴 대통령을 만났을 때 '우주기술 분야 참관 대상 목록'이라는 제목의 서류를 북한 측 수행원이 들고 있는 모습이 공개되기도 했다.이와 관련,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11일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부서 또는 관련 기관에서 시간을 가지고 북한의 여러 가지 미사일 발사 동향, 그와 관련된 저희가 입수한 여러 가지 정보들을 분석하고 있다"며 "현재는 특별히 말씀드릴 건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