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아시아프레스 “6월 말부터 가정 10시간, 기업에 20시간 공급”… 중국-러시아 '시선'
  • ▲ 2014년 초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촬영한 한반도 야경. 북한에서 전력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은 10년도 더 됐다. ⓒ뉴시스-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14년 초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촬영한 한반도 야경. 북한에서 전력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은 10년도 더 됐다. ⓒ뉴시스-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북한에서는 그동안 전력 공급이 안 돼 주민들이 생활 불편을 겪는 것은 물론 일상생활에 사용할 물품 생산도 제대로 못했다. 그런데 최근 북한 당국이 함경도 같은 지방까지 전력을 풍부하게 공급하고 있다고 일본의 북한전문매체 ‘아시아프레스’가 지난 27일 현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日‘아시아프레스’는 “북한 북부지역에서 지난 6월 말부터 공장과 가정집이 있는 곳까지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면서 “지역 당국이 전기세를 올릴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日‘아시아프레스’가 접촉한 양강도 소식통은 “지난 6월 말부터 주택 지구에는 하루 10시간 이상, 공장과 기업소에는 하루에 거의 20시간 정도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고 전했다. 양강도 소식통은 日‘아시아프레스’ 측에 “소문으로는 중국에서 전기가 들어온다는 사람도 있고, 제2경제위원회(군수산업위원회)가 사용하는 전기를 사회로 돌렸기 때문이라는 사람도 있지만 정확한 이유는 모른다”고 덧붙였다고 한다.

    함경북도의 도시에 사는 소식통도 “7월 들어 하루 10시간 이상 전기가 들어오고 있고, 수돗물까지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 소식통들조차 파악하지 못한, 북한 당국의 전력 및 상수도 공급 배경이 어디인지 파악되면 한반도 주변국들에게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북한 발전소는 수력이 주를 이루고, 무연탄 화력발전소 등이 보조하며, 전력 총 생산량은 239억 kWh(2016년 기준)로 한국의 4% 수준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낡은 송배전 시설, 전선 때문에 안정적인 공급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었다. 

    외국인이 공급해줄 가능성

    이런 북한 현실에서 하루 10~20시간 동안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한다는 점, 특히 중국과의 접경 지역에서 전력 공급이 안정됐다는 소식이 나왔다는 점은 현재 전기 공급을 하는 주체가 북한 내부가 아니라 외국일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러시아는 북한과 2015년부터 북한 전력망 복구 및 전력공급 사업에 관심을 갖고 협의를 벌여왔고, 중국은 압록강 일대에서 북한 측에 전력을 공급한다는 소문이 퍼진 바 있다. 한국은 2007년 초 200만 kWh 용량의 대북전력공급 사업을 추진하다 국민적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한국 내에서는 2018년 4월 남북정상회담 이후 한국과 북한, 러시아를 잇는 '동북아 슈퍼 그리드' 계획이 부상하기 시작했다. 이런 점 때문에 일각에서는 북한 당국이 주민과 기업소에 공급하는 전기가 외국인에 의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 ▲ 평양 밤거리. 김씨 일가와 관련된 조형물 외에는 조명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뉴시스-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평양 밤거리. 김씨 일가와 관련된 조형물 외에는 조명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뉴시스-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편 북한 당국은 주민들과 공장, 기업소 등에 전력과 상수도를 공급하는 동시에 각 가정과 기업들이 사용하는 전기제품 보유 조사에 나섰다고 한다. 이를 두고 북한 소식통들은 “북한 당국이 전기요금을 올려 받으려는 게 아니냐”고 추측했다. 

    북한 소식통들은 “각 지역 배전부(전기공급담당부서)가 가구별로 가전제품 보유 조사에 나섰다”면서 “조사가 끝난 뒤 세대별로 전기요금을 계산해서 받을지 아니면 일괄적으로 요금을 받을지는 지나봐야 알 것 같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각 가정과 기업소마다 전기 계량기를 설치하고 그 비용을 주민과 기업소 측에 부담시킨다는 소문도 돌고 있다고 한다.

    日‘아시아프레스’는 “이미 보도한 바 있지만 2017년 평양에서는 관리들이 집집마다 방문해 전기 계량기를 20~30달러에 구입하라고 강요했지만 반발이 커 실제로 설치한 가정은 극소수였다”면서 “당시 북한 당국은 가정마다 보유한 가전제품 수를 파악한 뒤 요금을 결정하는 식으로 전기요금을 올리려 했지만 ‘전기도 안 주면서 돈만 받는다’는 주민들의 불만이 강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