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자신의 홈페이지 글에서 盧 비판"책임 전가 盧 수법, 민주주의 수호 주장 위선""新 PK 지역주의 책임 盧가 져야""盧 같은 대통령 다신 나와선 안 된다고 생각"李 대통령 "盧 길이 제 길 … 대동세상 만들 것"과 판이
-
- ▲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가 지난 19일 서울 영등포구 꿈더하기 사회적협동조합에서 열린 발달장애인 일자리 현장 간담회 장소로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여권의 '성역'으로 평가받는 노무현 전 대통령을 '재벌 돈 받은 대통령'이라고 비판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노 전 대통령을 '다신 나와선 안 되는 대통령'으로, 그를 도운 친노(친노무현) 세력은 '얼치기 좌파'라고 지칭하며 비판했는데 공교롭게도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노 전 대통령의 길이 자신의 길이라며 "모두가 잘 사는 대동세상을 만들겠다"고 했다.23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 후보자는 노 전 대통령 임기 말인 2007년 '퇴수일기'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홈페이지에 글을 실었다. 퇴수는 조용히 물러나 내공을 닦는다는 의미로, 김 후보자가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서 들은 말에서 착안해 작성한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 김 후보자는 정치 활동을 사실상 중단한 상태였다.김 후보자는 2007년 5월, 11번째 퇴수일기에서 노 전 대통령을 비판했다. 제목은 '구국의 결단', 부제는 '정치인 노무현에게'였다.그는 "국민은 노무현 같은 대통령과 열린우리당 같은 정당이 다시 나와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면서 "대선에서 승리하고, 혹 실패하더라도 제1야당으로 살아나고 싶다는 노 대통령의 기대는 결코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이어 "중국의 문화혁명과 같은 얼치기 좌파의 사이비 개혁 노선으로 국민의 염증을 불러온 친노 세력도 대한민국의 미래가 아니다"라면서 "지난 5년간 노 대통령이 해온 식의 국정 운영이 연장돼선 안 된다"고 했다.노 전 대통령이 지역주의를 공고히 한 대통령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노무현 정치는 신(新) PK(부산·경남) 지역주의, 분파주의, 책임 전가, 준비 부족, 독선의 5대 특징으로 종합된다"며 "신 PK 지역주의는 고향에서 비주류로 일관한 노 대통령과 그 주변의 정치적 금의환향 욕구에서 비롯된 것이다. 누가 뭐래도 지난 5년간 이 나라에서 지역주의가 심화된 가장 큰 책임은 노 대통령이 져야 한다"고 했다.그러면서 "책임 전가는 노 대통령의 대표적 정치 수법"이라며 "집요하게 기득권에 집착하면서도 끊임없이 남들이 자신을 흔들었다고 책임을 전가함으로써 자파(自派) 세력을 결집시키고 국민을 기만했다. 민주주의 원칙을 철저히 수호해 온 것처럼 주장하는 노 대통령의 주장은 그래서 위선"이라고 했다. -
- ▲ 이재명 대통령이 노무현 전 대통령 16주기인 지난달 23일,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자격으로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을 찾아 노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참배한 뒤 눈물을 훔치고 있다. ⓒ뉴시스
참여 정부 당시 노 전 대통령의 국정 수행 능력 자체가 부족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김 후보자는 "노 대통령의 진정한 문제점은 좌냐 우냐가 아니라 장시간 깊이 있게 학습된 일관성이 없는 점"이라며 "지난 5년간 국민의 정치적 학습의 결론은 이제는 실력 있는 대통령을 뽑아야 한다는 것"이라고 했다.노 전 대통령의 독선과 도덕 우월주의도 비판의 대상이 됐다. 김 후보자는 "다른 모든 정치인과 세력을 원칙과 도덕의 잣대로 재단하고 있다. 그러나 과연 노 대통령은 그렇게 원칙적이고 깨끗한가"라며 "그도 재벌의 돈을 받았다. 자신이 도덕적 기준선으로 억지로 설정한 '한나라당의 10분의 1'이상의 대선 자금을 썼다"고 지적했다.그러면서 "독선을 고집한다면 노 대통령은 임기가 끝난 후 18대 국회 청문회에 서는 것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노 대통령에게도 공이 있지만 문제는 과가 공보다 크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김 후보자는 "그 이전부터 노 대통령이 국가의 최고 지도자로서 부적합하다고 생각해왔지만 정도가 심했다"면서 "비록 나와 늘 사물을 보는 방법론이 달랐지만 바보 노무현의 진정성을 진심으로 믿고 싶다"고 했다.2007년 2월 퇴수일기 8회 '승자의 조건, 시대정신과 내공'이라는 제목의 글에서도 노 전 대통령에 대한 비판이 등장했다.김 후보자는 "국민은 노 대통령에게 시대정신을 실현할 기회를 줬지만 결국 '지도자의 무능과 불안정이 수구보다 나쁜 독선과 사회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고통스럽게 학습해야 했다"고 했다.정치권에서는 김 후보자의 과거 글이 결국 더불어민주당의 정통성을 흔드는 발언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말이 나온다.실제로 양문석 민주당 의원이 지난해 총선 과정에서 노 전 대통령을 비판한 2008년 칼럼이 알려지자 당내에서 비판을 받고 공개 사과했다. 양 의원은 과거 노 전 대통령을 '불량품'이라고 표현했다.민주당은 김대중 전 대통령과 노 전 대통령의 사진을 당 회의실에 걸어 놓고 있다. 매해 5월 23일 노 전 대통령 서거일은 여권 전체의 행사로 자리 잡았다. 이 대통령도 대통령 후보 시절이던 지난 5월, 노 전 대통령 서거 16주기 행사 참석을 위해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을 찾았다.당시 이 대통령은 "개인의 안위보다 정의를, 타협보다 원칙을 고집했던 노무현 대통령의 길이 제 길이 됐다"면서 "노무현은 없지만 모두가 노무현인 시대, 깨어있는 시민들의 상식이 통하는 사회, 국민이 주인인 나라, 모두가 함께 잘사는 대동세상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