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 단축 개헌, 신중하게 고려해야""국민의힘, 국민투표법 개정 미온적""대선 이후 제7공화국 헌법 개정 준비해야"
-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한 후 백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05.18. ⓒ뉴시스
'4년 연임제 개헌'을 발표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우리 헌법상으로 개헌은 재임 당시 대통령에게는 적용이 없다는 것이 현재 헌법 규칙에 명시돼 있다"고 밝혔다.이 후보는 18일 오전 광주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45주년 기념식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윤석열 전 정권처럼 친위 군사 쿠데타를 하거나 국가 권력을 남용해 국민의 인권을 짓밟는 행위를 불가하게 통제하는 장치를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개헌 시 본인에게 연임제 적용을 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그러면서 "지금은 그런 걸(연임 적용 여부) 고민할 때가 아니다"라고 말했다.앞서 이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5·18 민주정신 헌법 전문 수록, 대통령 4년 연임제, 대통령 결선투표제 도입, 국무총리 국회 추천제 등의 내용을 담은 개헌 추진 공약을 발표했다.이 후보는 "대통령 권한 남용을 통제하는 직접적 정치도 추가로 필요하겠고 특히 국무총리 국회추천제를 통해 행정 각부가 좀 더 자율적으로 국정에 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고 했다.그러면서 "그러나 이것은 결국 국민이 심층 논의를 통해 결정할 일이고 결국 국회라고 하는 국민의 대의기관이 주로 나서서 책임져야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이 후보는 개헌 시점에 대해서는 "각 후보가 개헌안을 공약으로 내고 있다"며 "누군가 대통령으로 당선된다면 그 공약대로 국민적 논의를 시작해 국회에서 가급적 신속하게 제7공화국 헌법 개정을 준비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이 후보는 '오늘에 와서야 헌법 개정 관련 이야기를 꺼낸 이유가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정치적 이해관계를 쉽게 조정하지 못했기에 지금까지 해야 할 일이긴 하지만 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라고 언급했다.그는 "이번에도 개헌을 합의 가능한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대선과 동시에 하고 싶은 생각이었다"며 "국민의힘 측이 요구하는 바를 다 들어주고 국민투표법을 일주일 내 개정해 개헌하자고 했으나 국민의힘 측에서 전혀 반응이 없었다"고 화살을 돌렸다.그러면서 '차기 대통령 임기 4년 단축'에 대해 묻는 질문에는 "일부에서 임기 단축 개헌을 얘기하는데 국가 최종 책임자의 임기 문제는 좀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이어 "제가 저번에 1년 단축 얘기를 했던 것은 지방선거와 주기를 맞추기 위해 불가피했던 측면이 있었던 것"이라며 "지방선거가 끝나는 시점에 맞춰서 하면 딱 맞아 떨어진다"고 주장했다.제21대 대통령 임기가 2025년 6월 4일부터 2030년 6월 3일로, 차차기 지방선거와 차기 대선이 함께 치러질 수 있는 시점이 맞아 떨어진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만약 대통령 임기를 4년으로 줄이면 주기가 맞춰지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된다.한편, 이 후보는 "구 여권에서도 수차례 약속했던 것처럼 국민 주권주의 주권재민의 사상을 목숨을 바쳐가며 실행했던 광주 5·18 정신을 반드시 헌법 전문에 수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