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재판 특권 논란, 여론 '재판 지속' 우세차기 대통령 과제 '경제회복과 민생 안정' 압도적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6·3 대선 공식 선거운동 닷새째인 15일 전남 순천시 연향동 패션의 거리에서 열리 선거 유세에 참석하고 있다. ⓒ이종현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6·3 대선 공식 선거운동 닷새째인 15일 전남 순천시 연향동 패션의 거리에서 열리 선거 유세에 참석하고 있다. ⓒ이종현 기자
    대통령에 당선된 후에도 형사 재판을 예외 없이 계속 진행해야 한다는 여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BS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60%가 '대통령도 예외 없이 재판을 받아야 한다'고 응답했고, '대통령에 대한 재판은 중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37%다.

    대선 후보 지지도 조사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46%의 지지율로 1위를 기록했고,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31%로 뒤를 이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8%로 조사됐다.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 간의 지지율 격차는 15%포인트다.

    중도층만을 대상으로 한 지지도 조사에서도 이재명 후보가 55%의 지지를 받았고, 김문수 후보는 22%, 이준석 후보 9%로 집계됐다.

    차기 대통령 선거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3%가 '정권 교체를 위해 야권 후보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답했고, '정권 재창출을 위해 여권 후보를 지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36%다.

    투표 시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후보의 능력과 경력'(39%)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이어 '후보의 이념과 공약'(25%), '도덕성'(22%)으로 조사됐다.

    후보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건으로는 '윤석열 전 대통령 계엄 선포 및 탄핵'(38%)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내외 경제 위기' '민주당의 의회 운영 방식' '이재명 후보의 사법리스크'가 각각 15%로 조사됐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민주당이 39%, 국민의힘이 31%, 개혁신당이 7%다.

    민주당이 이재명 후보의 선거법 위반 사건 유죄 취지 파기환송 판결과 관련해 추진 중인 대법원장 특검에 대해서는 찬성 46%, 반대 44%로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갈렸다.

    대선 후보들의 외연 확장 전략에 대해 이재명 후보의 보수 성향 인사 영입은 긍정적 평가(53%)가 많았지만, 김문수 후보의 '반이재명 연대'와 '범보수 빅텐트' 전략은 부정 평가(50%)가 긍정 평가(36%)보다 높았다.

    차기 대통령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국정 과제로는 '경제 회복과 민생 안정'(52%)이 가장 높았고, '검찰과 사법 개편' '국민 통합'이 각각 17%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접 조사로 실시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