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국종 "金, 어려운 환경에서 중증외상센터 추진"金, GTX 개념 최초 도입 … 수도권 대중교통 개선국힘 "金, 광교·판교 개발 사업에 잡음 없었다"
-
-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3일 오전 국민의힘 대구시당에서 열린 대구경북선거대책위원회 출정식 및 임명장 수여식에 참석하며 인사를 나누고 있다. ⓒ서성진 기자
제21대 대선 공식 선거운동이 이틀째를 맞은 13일 사실상 김문수·이재명 후보가 양강 구도를 이루는 가운데 이들의 경기도지사 이력이 재조명되고 있다.김 후보는 2006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제32~33대 민선 최초 연임 경기지사 출신이다. 이 후보는 2018년 7월 35대 경기지사에 당선된 후 3년 남짓의 임기를 소화하다가 대선 출마를 위해 2021년 10월 사퇴했다.김 후보는 이번 대선 공약으로 윤석열 정부의 의료개혁 '원점 재검토'를 내걸었다. 의료개혁이 이번 대선에서도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김 후보는 "의료 안전망 복구와 합리적 의료 시스템 재구축을 위해 6개월 내 붕괴된 의료 시스템을 재건하겠다"고 선언했다.과거 김 후보는 2013년 경기도지사 시절 200억 원 규모의 아주대학교 중증외상센터 설립을 추진했다. 현재 국내 최고 수준의 시설로 자리잡은 아주대 중증외상센터는 2024년 기준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권역외상센터 평가에서 10년 연속 'A등급'을 받았다.당시 아주대 중증외상센터장을 지낸 이국종 현 국군대전병원장은 자서전 '골든아워 2'에서 "김 지사는 당적을 한나라당에 두고도 경기도의회의 다수 의석을 차지한 민주당 소속 도의원들을 설득해 나가며 중증외상센터 설립 지원 예산 확보에 힘썼다"고 회상했다.이 원장은 "경기도에서 발생하는 중증외상 환자들이 다른 자치단체에 비해 더 많이 회복한다는 결과를 가시적인 지표로 확인하며 기뻐했다"며 "지방정부에서도 사람을 살리는 데 있어서만은 각 당의 목표가 선명하게 합쳐지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고 했다. -
- ▲ 제21대 대통령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12일 오후 경기 화성시 동탄 센트럴파크 음악분수중앙광장 유세장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서성진 기자
사회간접자본(SOC) 관련 공약도 이번 대선 주요 쟁점 중 하나로 꼽힌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노선을 확대 및 연장하는 등 이른바 'GTX플러스' 공약을 내걸었다.GTX는 과거 김 후보가 경기지사 시절 이뤄낸 최대 업적 중 하나로 꼽힌다. 김 후보는 GTX 개념을 최초로 도입해 수도권 대중교통 개선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김 후보는 노동운동가 출신으로 시작해 3선 국회의원, 민선 최초 연임 경기지사, 고용노동부 장관을 지내는 등 좌와 우를 넘나드는 독특한 이력을 쌓아왔다. 민주화운동 이력 덕분에 자신이 정치인으로 성장했다며 10억 원가량의 민주화운동 보상금을 수령하지 않은 김 후보의 일화도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이에 대해 국민의힘 선대위 관계자는 "김 후보는 경기지사 시절 광교 신도시, 판교 테크노밸리 등 명품 신도시를 추진하고도 구속된 사람은 없었다"며 "반면 이재명 민주당 후보는 대장동·백현동 개발 사업 등으로 사회적 논란을 야기했다. 유권자가 이를 바로 보면 답이 나온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