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지도층 인성(人性)을 따져야 한다면?인간 됨, 성품, 교양, 성숙성은?좌나 우나, 재주만 있는 이들 왜 이리 많은가
  • ▲ 토론회에 나선 국민의흼 당대표 후보들. 말 잘하고, 똑똑하고, 재주 있는 사람을 뽑아야 하나. 아니면 사람 됨이 있는, 덕이 있는 사람을 선택해야 하나. 그것이 문제다. ⓒ뉴시스
    ▲ 토론회에 나선 국민의흼 당대표 후보들. 말 잘하고, 똑똑하고, 재주 있는 사람을 뽑아야 하나. 아니면 사람 됨이 있는, 덕이 있는 사람을 선택해야 하나. 그것이 문제다. ⓒ뉴시스
    ■ 10초에 한 번 끼어들기

    나경원 후보가 얘기할 때, 
    30초 이상 말을 참지 못 한다. 
    10초에 한 번씩 끼어든다. 
    사소한 공격도 참지 못한다.”

    박성태 <사람과 사회연구소> 연구실장이 
    한동훈의 성격을 두고 
    CBS 방송에 나가 한 말이다. 

    이 말을 듣고, 
    필자는 평생 절감해 온 
    한 가지 사실을 다시 한번 떠올린다.

    ■ 정치인을 평가하는 기준

    사회사상에선 항상 
    좌니 우니, 보수니 진보니 하는 것을 가른다. 
    이 논쟁에 너무 빠지다 보면, 
    매사 이 기준에서만 사람과 세상을 보려 한다. 
    그러나 이게 전부가 아니다.

    이것 외에 다른 더 중요한 기준이 있을 수 있다. 
    ☆인간 됨 ☆성품 ☆교양☆ 성숙성의 문제가 
    그것이다. 
    특히 ☆덕성(德性)이 있느냐 없느냐의 기준.

    덕이 있기란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다. 
    “나는 덕이 있다” 라고 
    누가 감히 자부할 것인가? 

    그러나 “저 사람은 유난히 덕이라곤 없다” 라고 평할 만한 유형은 곧잘 눈에 띈다. 
    [재승박덕(材勝薄德)] 말이다.

    ■ 똑똑하면 되는건가

    덕성 여부는 타고나는 바가 크기에, 
    인간은 누구나 그 점에서 
    결백을 자처할 수도, 기대할 수도, 없을 것이다.

    다만 필자가 경험을 통해 터득한 바로는 
    ※ 학교 공부 잘하는 똑똑한 축에 
    이런 유형이 꽤 있다는 사실, 
    그리고 
    ※ 이것은 우(右)에도 좌(左)에도 
    다 있다는 사실이다.

    그건 너무 자명하고 당연한 소리 아니냐고? 

    그렇지 않다. 
    인간 세상에선 이 자명하고 당연한 것이 
    늘 간과되기 일쑤다. 

    ★ 누가 더 똑똑한가
    ★ 누가 더 잘났는가
    ★ 누가 더 우수한가
    ★ 누가 더 [뛰는 x 위에 나는 x] 인가 의 
    수(數) 싸움만 있다.

    ■ 온통 [싸가지]들이 활개치는 세상

    이런 종류의 다툼에만 몰입하다 보면, 
    세상은 갈수록 
    ※ 더 야박해지고  
    ※ 소갈머리 없어지고 
    ※ 맹독성이 세지고  
    ※ 경박해지고 
    ※ [싸가지] 가 된다. 

    최근에만 해도 [싸가지] 들이 좌·우 양쪽 정치권에 
    얼마나 끊임없이 출몰했는가? 

    하나가 온 강물을 흐리는가 싶다가 사라지면 
    또 하나가 나오고.
     
    ★ 어리다고 할지 
    ★ 얌통머리 없다고 할지 
    ★ 고얀 x이라고 할지 
    ★ 못된 x이라고 할지.

    이런 성품은 같은 조직 안에서도 
    경쟁자와 선배를 치는 방식에 의해 
    자기를 드러내는 [생존법] 을 쓴다.

    장자(長者)나 경쟁자를 참아주질 못한다. 
    없는 트집을 만들어서라도 
    그에게 시비를 걸고 싸우며 
    자기 몸값을 올리려 한다. 

    ★ 내가 이겼지?
     내가 일등이지? 
    ★ 내가 맞았지? 의 
    화신들이랄까-. 

    ■ [사람 됨]이 우선 돼야

    좌니 우니 하는 따따부따는 
    이런 기층(基層)의 사람 됨 문제에 비하면 
    실은 표피적이다. 

    이런 요건을 완전하게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의식하면서] 사는 게, 긴요할 할 듯싶다. 
    그래야 [병증(病症) 없는] 
    사상적 담론도 나올 수 있다.

     악당·괴물이라면, 
    우면 뭘 하고 좌면 뭘 하나?

    현대인이 가깝게 여기지 않는 유교는 
    [극기복례(克己復禮)]를 강조한다고 들었다. 
    “자기 욕심을 누르고 예의범절을 따름”이란 뜻이란다. 

    필자에겐 어려운 덕목이다. 
    다만 정치 지도층의 인성(人性) 논란을 계기로 
    이 말을 한번 상기해 볼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