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민주통합당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폐기 공약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박 위원장은 20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방송기자클럽 토론회에서 “현재의 야당이 새누리당의 심판 주체라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심판한다는 것은 잘못된 것을 바로잡자는 것인데 여당일 때 말 다르고 야당일 때 말 다르고, 자신이 추구한 정책을 뒤집는 것이야말로 바로 잡아야 할 문제”라며 민주통합당의 말 바꾸기식 정치적 행태를 꼬집었다.
이어 “(민주통합당은) 스스로를 폐족이라고 부를 정도로 국민의 심판을 받은 분들인데 그 분들이 다시 모여 지난 정권에서 추진했던 정책에 대해 계속 말을 바꾸는 것, 이것이야말로 심판의 대상이 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한-미 FTA에 대해 “노무현 정부 시절 처음으로 추진했는데 그때에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고 지금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한-미 FTA가 발효돼 실생활에 효과가 퍼지게 되면 많은 분이 지지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자신했다.
-
- ▲ 20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방송기자클럽 토론회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민주통합당의 한-미 FTA 폐기 공약을 비판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 위원장은 “한 번 추진한 정책은 반드시 책임을 진다는 것이 우리가 선거에 임하는 자세”라고 강조했다.
지난 13일 국회에서 열린 전국위원회에서 박근혜 위원장은 “여당일 때는 국익을 위해 한-미 FTA를 추진한다고 해놓고 야당이 되자 정반대 주장을 하는 사람들에게 나라를 맡길 수는 없다”고 지적했었다.
박 위원장은 또 이명박 대통령의 탈당 등 현 정부와의 인위적인 결별에 대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그는 “국민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우선이다. 매번 반복된 (대통령) 탈당이 답이 되겠느냐”고 반문했다.
신공항 문제와 관련해선 “신공항은 현 정부에서 폐기한 정책인데 저는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꼭 필요한 인프라라고 생각하고 있다. 반드시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당헌-당규 내 경제민주화 조항에 대해선 “‘대기업 때리기’가 아니다. 경제민주화는 대기업의 긍정적 측면은 최대한 살리고 부정적 측면은 최소화하자는 생각에서 출발하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박 위원장은 정수장학회 논란에 대해 “2005년 이사장직을 그만둔 후로 저와는 관련이 없다. 이 문제와 관련해선 정수장학회에서 분명한 입장표명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