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TF, 尹 질서 있는 조기퇴진 로드맵 마련
  • ▲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9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비상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9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비상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정국안정화 태스크포스(TF)가 내년 상반기 대선 실시를 골자로 한 정국 수습 로드맵 초안을 마련해 한동훈 대표를 비롯한 당 소속 의원들에게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TF 위원장인 이양수 의원은 10일 한 대표에게 '3월 퇴진 후 5월 대선' 또는 '4월 퇴진 후 6월 대선' 등 총 2개의 정국 수습 로드맵을 보고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질서 있는 조기 퇴진' 방안을 위한 구체적인 시점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되면 6개월가량이 소요되고, 8월쯤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게 되는 만큼 '조기 하야'를 통해 정국을 수습하자는 것이 TF의 입장이다.

    한 대표와 이 의원은 TF의 초안을 토대로 의원총회에서 당 소속 의원들의 의견 수렴 절차에 착수했다. 오는 14일 윤 대통령의 두 번째 탄핵안 표결이 예고돼 있어 이르면 이날 로드맵을 확정해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윤 대통령의 퇴진 시기와 관련해 의원들의 의견이 갈리고 있는 만큼 조율이 쉽지는 않을 전망이다.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의원총회 도중 기자들과 만나 TF의 초안에 대해 "너무 늦다"며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며 "조기 퇴진은 조금 더 적시성이 있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두 달은 너무 길다"고 주장했다.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도 기자들과 만나 "아무것도 정해진 게 없다. 다양한 논의를 하고 있다"며 TF가 제안한 시기에 대해 유보적 입장을 내놨다.

    반면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윤 대통령의 빠른 퇴진에 대해 "반대한다"며 "대통령제의 폐해를 극복하는 게 더 중요하다. 윤 대통령에게 사법적, 정치적 책임을 묻는 것을 넘어 대통령제의 폐해를 극복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했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도 "중진 중에서 즉시 하야를 얘기하신 분은 없었던 것 같다"며 "조금 생각의 결이 다른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