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정당한 권한 행사로 판단한 듯"
-
- ▲ 윤석열 대통령이 3일 밤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긴급 대국민 특별 담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안보 전문가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적법성과 별개로 정치적 상황을 고려할 때 '부적절한 판단'이었다고 분석했다.4일(현지시각) 미국의 소리(VOA) 보도에 따르면, 시드니 사일러 전 국가정보위원회(NIC) 국가정보분석관은 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법적으로 취할 수 있는 조치지만 실제 발동은 부적절했다"고 평가했다.그는 "윤 대통령은 계엄령 선포가 자신의 문제 또는 위기라고 인식한 정치·안보 사안을 해결하고자 주어진 법적 권한을 정당하게 행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이는 윤 대통령이 여소야대 정국으로 정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동시에 지지율이 하락하는 상황에서 타개할 유일한 방법이 '계엄령 발동'이라는 결론에 도달했으리라는 것이다.윤 대통령은 계엄 선포 당시 "지금까지 국회는 우리 정부 출범 이후 22건의 정부 관료 탄핵소추를 발의했고, 제22대 국회 출범 이후에도 10명째 탄핵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는 세계 어느 나라에도 유례가 없을 뿐 아니라 건국 이후로 봐도 유례가 없다"고 밝혔다.이에 대해 사일러 전 분석관은 "이번 계엄령 선포는 대통령 스스로 판단에 따른 것으로 다른 세력이 군 조직을 이용해 정권을 전복하고자 발동된 것은 아니었다"라며 "대통령이 곧바로 국회의 계엄령 해제 결의를 받아들였다는 점에서 심각한 민주주의의 위기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한미연합사 작전 참모 출신 데이비드 맥스웰 아시아·태평양전략센터 부대표는 윤 대통령이 계엄령 선포의 주요 배경으로 '북한 공산 세력과 종북 반국가 세력으로부터 국가와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을 언급한 것에 주목했다.그는 "가장 낮은 지지율이 역설적으로 윤 대통령에게 행동할 기회를 준 것 같다"며 "정치적으로 잃을 것이 없는 상황에서 종북 세력 척결이라는 정치적 목표를 갖고 조치에 나선 것"이라고 분석했다.다만, 이번 사태가 국내에서 큰 논란을 불러일으킨 것과는 별개로 한미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이라는 견해도 나왔다.테렌스 로리그 미 해군전쟁대학 교수는 VOA를 통해 "계엄령에 대한 한국 정치 전반의 반대가 존재한다"면서도 "일부 혼란을 겪은 뒤 다시 안정된 민주주의로 나아간다면 우려스러운 역사적 사건으로 기록될 수는 있겠지만 한미동맹 자체를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