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최대 4500만 페이지뷰 '나무위키'본사는 파라과이에 ‥ '실소유주' 파악 안 돼사생활 침해 논란, 산하 사이트엔 '음란물' 난무
  • ▲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 ⓒ이종현 기자
    ▲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 ⓒ이종현 기자
    인터넷 백과사전을 표방하는 '나무위키(namuwiki)'가 아동·청소년 음란물이 게시·유통되는 커뮤니티 사이트를 산하에 거느리고 막대한 이득을 취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이들 사이트는 모두 한국어로 서비스되고 있으나, 정작 나무위키 등의 본사가 해외에 있어 '규제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우려까지 나왔다.

    참여형 지식사이트로 알려진 나무위키가 불법 콘텐츠로 몸집을 키우고 있다는 의혹은 MBC 사장을 역임한 미디어 전문가,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을 통해 불거졌다.

    지난달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정감사에서 김 의원은 "엄연한 사생활 침해에 해당하는 무분별한 개인정보 유포가 나무위키 내에서 벌어지고 있고, 산하 '아카라이브'를 통한 음란물 유포가 심각해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며 사태의 심각성을 언급했다.

    김 의원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가 나무위키와 아카라이브, 나무뉴스에 음란물 관련 시정 요구를 한 횟수는 지난 3년 간 4833건으로 나타났다"며 "이 외에도 성범죄피해신고, 저작권 위반 침해신고, 개인정보침해 신고가 당국에 지속적으로 접수되고 있다"고 밝혔다.

    ◆"해외법인이라 국내법 적용 한계 있어"


    "문제는 나무위키가 본사를 해외에 두고 있어 제재가 쉽지 않다는 점"이라고 지적한 김 의원은 "운영진 정보가 공개되지 않은 데다가 본사도 파라과이에 두고 있어 국내법을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강조했다.

    나무위키는 2015년 4월 17일 설립됐는데, 소유자로 알려진 'namu'가 2016년 5월 8일 파라과이 아순시온에 위치한 'umanle S.R.L.(우만레에스알엘)'에 소유권을 넘겼다. 2016년 9월 5일 서비스를 개시한 '아카라이브' 역시 파라과이 아순시온에 본사를 두고 있다. 대외적으로 'umanle S.R.L.'의 대표는 헥토르 파비안 곤잘레즈 에스코바르(Héctor Fabián González Escobar)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나무위키에 저에 대한 허위정보도 있어, 세 번이나 삭제 요청을 했는데 나무위키에서 그때마다 '운전면허증 사본'을 요구해 이메일로 파라과이에 보낼 수 밖에 없었다"며 "그럼에도 허위사실이 담긴 인물 소개란을 즉각 지우지 않고 한 달이 지난 뒤 삭제했다. 그러면서 법적인 문제가 있으면 파라과이 법원에 제소하라는 어처구니 없는 답변을 보내왔다"고 밝혔다.

    "방심위조차 운영진이나 소유주의 신원을 파악하지 못한 채 메일 등의 수단을 통해 연락하는 정도"라며 "나무위키는 최근 방심위의 협력회의 참여 요청도 거절한 바 있다"고 짚은 김 의원은 "이에 방심위는 지난달 16일 통신심의소위원회를 열고 나무위키에 기재된 특정 인플루언서 페이지에 '접속 차단'을 의결한 바 있다"고 소개했다.

    ◆"악의적 편집과 낙인찍기 우려"


    김 의원이 나무위키의 한 국내협력사를 통해 제보받은 자료에 따르면 나무위키 배너 광고 한 개분의 월 수익은 최대 2100만 원에 달했다.

    2019년 4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2년 7개월 동안 배너 한 개로 벌어들인 수익은 4억7985만 원이었는데,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수익이 크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3년 전의 자료임을 고려하면, 지금은 더욱 늘어났을 것으로 예상된다.

    광고 배너를 통해 나무위키의 일일 방문객 수는 약 200만 명이며 페이지뷰는 최대 4500만 뷰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웬만한 언론사 10개에 필적하는 수준의 페이지뷰라는 게 의원실 관계자의 전언이다.

    시밀러웹에 따르면, 지난 9월 한 달 동안 국내에서 나무위키에 접속한 방문자 수는 2억9200만 명에 달했다. 구글, 네이버, 유튜브, 다음, 디씨인사이드, 쿠팡에 이어 일곱 번째다.

    김 의원은 "'집단 지성'이 편집하는 자율적 백과사전이라고 하지만 악의적 편집과 낙인찍기가 가능하고, 사생활 침해는 심각한 지경"이라며 "나무위키는 오로지 한국인만을 대상으로 서비스하면서 해외에 본사를 둬 법망을 피하고 있는데, 정부의 강력한 대응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메일로만 소통 ‥ 직원도 만날 수 없어"


    국민의힘 미디어특별위원회(위원장 이상휘)도 성명을 통해 동일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섰다.

    미디어특위는 1일 배포한 성명에서 "허위정보 축적과 방치 의혹을 받고 있는 나무위키가 허위정보에 대한 시정이나 법적 책임은 피하면서 돈만 벌어가고 있다"며 "오직 이메일로만 소통하고, 트래픽이 한국에서만 발생하는 데도 국내에 법인을 두지 않아, 회사로 찾아가거나 관련 직원을 만날 수도 없다"고 지적했다.

    "즉 '피해 구제'를 위한 최소한의 적정 수단도 없는 셈"이라며 "현재 나무위키 실소유주와 운영진이 한국인으로 추정될 뿐 정확한 실체는 미스터리"라고 꼬집은 미디어특위는 "정체불명의 회사가, 국내에서 허위정보를 방치하고, 피해 구제 의지도 없고, 오직 이용자의 등에 빨대를 꽂아 돈만 벌어갈 궁리만 한다면 왜 국내 사업을 허용해야 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미디어특위는 "타인의 개인정보를 돈벌이 수단으로만 보는 천박한 표현의 자유는 민주사회에서 용납될 수 없다"며 "국내에서 거액의 수익을 가져가는 만큼 나무위키는 선량한 사업자로서 의무를 이행해야 마땅하고, 이를 거부한다면 프랑스 등 다른 국가처럼 주권을 발휘해 나무위키의 국내 접속 차단 등 강력한 조치가 검토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