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우화되지 않는 범위에서 직접민주주의 강화""탈당 당원에 편지 … 포기하면 끝"
  • ▲ 이재명(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가 22일 오후 충남 예산군 스플라스 리솜에서 열린 제22대 국회의원 당선인 워크숍에서 대화를 나누며 미소짓고 있다. ⓒ뉴시스
    ▲ 이재명(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가 22일 오후 충남 예산군 스플라스 리솜에서 열린 제22대 국회의원 당선인 워크숍에서 대화를 나누며 미소짓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3일 국회의장 선거 후 당원 탈당 파장에 대해 "이번 일을 계기로 당원 중심의 대중 정당으로 확실히 변모시키겠다"며 당원 달래기에 나섰다.

    최근 민주당에선 국회의장 후보 경선에서 '명심'(이재명 대표의 마음)으로 꼽혔던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낙선하고 우원식 의원이 당선되자 당원들 사이에서 탈당 움직임이 거세게 일었다.

    이 대표는 이날 경남 김해 봉하마을 생태문화공원에서 열리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 추도식으로 향하는 길에서 유튜브 라이브 방송에 출연해 "최근 의장 후보 선출 과정에서 실망감이 생겨났다. 현재 2만 명 넘게 탈당했다. 항의도 여전하다"며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왜 오래된 당원들이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한 반응을 보일까. 짐작건대 저는 기대와 애정이 커져서 그런 것이 아닐까 싶다"며 "잘못된 결정이 아니었다, 충분히 할 수 있는 선택이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건 당 지도부, 당선자 몫"이라고 했다.

    이 대표는 "중우화되지 않는 범위 내에선 직접민주주의를 최대한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주권자는 국민이고 당 주인은 당원이니까 당 의사 결정에 당연히 당의 주인인 당원 의사가 관철 또는 존중, 최소한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대표는 "변화의 에너지와 역동적 에너지를 누를 게 아니라 키워가야 한다"며 "당원들의 역할을 확대하고 그를 통해 책임감과 자긍심을 높여내면 이게 노무현 전 대통령이 말했던 '깨어있는 시민들의 조직된 행동'이 되지 않을까"라고 했다.

    이 대표는 탈당한 당원들에게 편지를 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방송이 늦어졌는데 그 이유는 탈당한 당원들에게 편지를 쓰는 문안을 작성했기 때문"이라며 "포기하면 끝이다. 포기하지 말고 혼을 내달라"고 호소했다.

    이어 "포기하면 옛날로 되돌아 갈 것"이라며 "권력자, 기득권자 몇몇이 모여 나눠먹기 하고 사익을 도모하는 사람이 다시 당을 차지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