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선포 30분 후 평양서 간부 소집""北 간부, 계엄 자체보다 해제 절차에 당황"
  • ▲ 연설하는 북한 김정은.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 연설하는 북한 김정은.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 군 고위 간부들을 비상 소집했다는 증언이 제기됐다.

    6일 북한 전문 매체 '데일리 NK'는 북한 내부 군 고위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 총참모부는 윤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한 후 약 30분 뒤인 밤 11시쯤 군 고위 간부들을 평양시 서성구역 석봉동에 있는 총참모부 본부로 소집했다"고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군 당국은 이 회의에서 윤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한 것과 한국군이 대비 태세 강화에 들어간 사실을 군 간부들에게 밝히며 이에 대한 대응 조치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당국은 회의 종료 직후인 4일 새벽 전군에 비상 작전 지휘 태세 전환 명량을 하달했고, 이는 같은 날 오후 5시까지 계속됐다.

    매체에 따르면 한국의 비상계엄 소식은 당 고위 간부를 비롯한 북한 상위 계층에도 빠르게 확산됐다. 다만, 북한은 당 간부들에게도 아직 사태와 관련한 어떠한 발표도 하지 않아 이들은 개별적인 방법으로 소식을 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중 일부는 소식을 접한 후 "인민군대(북한군)가 남쪽을 공격한 것인가"라는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갑작스러운 상황에 고위층도 모르는 '대남 군사 조치'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당황했다는 후문이다.

    또 일부는 계엄령 선포 사실 자체보다 국회에 의해 계엄령이 해제된 것에 더 놀라움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한 소식통은 "대통령이 명령했는데 어떻게 국회에서 이를 해제할 수가 있냐"며 "국회에서 반대하니 바로 명령이 취소됐다는 것에 간부들이 충격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한편, 북한은 비상계엄 사태에 관한 어떤 반응도 내놓지 않고 있다. 북한 대외 관영 매체인 노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도 관련 보도가 전무하다.

    이에 일각에서는 북한이 섣부른 판단 대신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주장이 나온다. 

    이는 북러조약으로 비롯된 양국의 군사 밀착과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백악관 복귀 등으로 다변화된 한반도 정세를 고려해 북한이 일종의 탐색전에 돌입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북한은 앞서 한국의 주요 정치 사안에 대해 상이한 반응 속도를 보였다.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기각됐을 때는 이틀이 소요됐지만, 2017년 헌법재판소가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인용을 결정했을 때는 약 2시간 20분 만에 속보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