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구와 협력, 우선 재정비 대상지 선정심의 등 절차 거쳐 연말 최종 고시
-
- ▲ 서울아파트 전경.ⓒ뉴데일리DB
서울시가 자치구별로 진행해 왔던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를 직접 '일괄 재정비'로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지난 4월 지구단위계획 용적률 체계를 대대적으로 손질하겠다고 밝힌 뒤, 보다 합리적이고 신속한 적용을 위한 후속 조치다.앞서 지난달 15일 도시계획조례의 전면 개정으로 '용적률 체계 개편 방안' 시행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됐지만 각 자치구의 구역별 특성과 여건에 따라 정비시기가 다를 수밖에 없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됐다.시는 "안정적인 사업추진, 구역간 정비시기 형평성 등을 고려해 직접 정비에 나선다"고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이에 따라 서울 시내 지구단위계획구역 787곳 중 현재 재정비가 진행되고 있는 구역 등을 제외하고 200여곳이 일괄 재정비 대상지가 된다.시는 25개 자치구와 협력해 이들 지구단위계획구역을 대상으로 우선 정비할 계획이다.일괄 재정비 대상에서 제외되는 역사문화·지역자산 활용 등 지역별 특성 보전을 위한 지역과 개발정비형 구역은 기존 계획과의 정합성, 지역 여건을 고려해 별도의 용적률 정비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시는 이달 중 지구단위계획 일괄 재정비 수요조사를 시작으로 올 하반기 열람공고와 도시·건축공동위원회심의 등 절차를 거쳐 연말에 최종 고시할 계획이다.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최근 다양한 제도 완화·정비 방안이 마련되고 있지만 시민이 개선 사항을 체감할 수 없다면 의미가 없을 것"이라며 "앞으로 상시적인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체계 마련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