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조폭 사진' 취재 보도한 본지 기자 전화번호 공개 논란국민의힘 양준우 "여권 언론중재법 의도 드러나… 오만한 권력 심판을" 원희룡 대선 캠프 "법무부장관 타이틀 부끄럽지 않은가, 기자에 사과해야"유승민 대선캠프 "언론에 재갈 물리고 통제하려는 시도…민주주의의 후퇴"
  •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이종현 기자
    ▲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이종현 기자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이 국제마피아파 핵심 조직원 출신인 이태호 씨와 함께 찍은 사진을 취재한 본지 기자의 개인 휴대전화 번호를 공개한 것과 관련, 야권에서 "언론에 재갈을 물리려 한다"는 비판이 잇달아 나왔다.

    양준우 국민의힘 대변인은 22일 논평을 통해 "추 전 장관이 개인 SNS에 기자의 실명과 전화번호를 모자이크 없이 올리며 '좌표 찍기'에 나섰다"며 "자신이 국제마피아파 조폭과 기념사진을 찍었다는 기사가 나가자 '너무 빨리 물들고 늙지 말길 바란다'는 꼰대적 훈수를 곁들이며 SNS에 기자의 실명과 전화번호를 공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추 전 장관은 전날 오후 6시40분쯤 페이스북에 "젊은 기자님! 너무 빨리 물들고 늙지 말기 바란다"면서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것은 부조리에 대한 저항정신, 비판정신"이라고 훈계했다.


    추 전 장관은 그러면서 본지 취재기자의 전화번호를 모자이크 없이 노출했고, 논란이 커지자 약 한 시간 만에 전화번호 뒤 네 자리만 가렸다.

    이에 양 대변인은 "해당 SNS 글은 일부 친여 커뮤니티에 공유되며 확산됐다고 한다. 사실상 유력 정치인이 지지자들에게 '좌표'를 찍은 것"이라며 "한 번은 실수일 수 있겠으나 두 번 반복되면 의도적인 소행이다. 지난해 10월, 추 전 장관은 한 취재기자의 사진을 모자이크 없이 게시하며 동일한 '좌표 찍기' 시도로 물의를 빚은 적이 있다"고 비판했다.

    양 대변인은 "이번이 두 번째다. 비판적인 물음에 재갈을 물리려는 명백한 악의를 가지고 하는 행동인 것"이라며 "비뚤어진 언론관을 갖고 언론에 재갈을 물리려는 시도를 반복하는 행태에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추 전 장관은 좌표 찍기에 더해 사후 법적 조치까지 취할 것임을 예고하기까지 했다"고 지적한 양 대변인은 "사실관계가 정확하고 본인의 해명까지 충실히 보도된 기사가 무엇이 문제일지는 모를 일이지만, 만약 언론중재법이 통과됐다면 추 전 장관이 제일 먼저 달려가 1호 사례가 됐을 것이 자명하다"고 꼬집었다. 

    양 대변인은 "일선 기자 좌표 찍기에 고소 남발, 언론중재법 입에 담을 자격이 있나"라며 "여권의 언론중재법 의도가 다시 한번 드러나는 순간이다. 비판에 재갈 물리려는 오만한 권력은 반드시 심판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대선주자 측에서도 추 전 장관의 '좌표 찍기'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원희룡 국민의힘 대선후보 캠프 박기녕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기자의 개인정보쯤은 가볍게 무시하는 추 전 장관"이라며 "자신에게 불리한 기사를 썼다고 기자의 실명과 전화번호, 문자 내용이 담긴 사진을 공개했다. 지지자들에게 기자를 괴롭혀 달라며 좌표 찍는 행위뿐이 더 되겠는가"라고 비판했다.

    박 대변인은 "기사에 대해 차후 법적 조치를 운운하면서 자신은 왜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하나. 전 법무부장관이라는 타이틀이 부끄럽지 않은가"라며 "즉각 모든 게시물을 삭제하고 기자에게 사과부터 하라. 그리고 다시는 여당 관련 인사들의 입에서 언론중재법 소리 안 나오게 하라"고 당부했다.

    유승민 국민의힘 대선후보 캠프 장천 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자신에게 불리한 내용이 있다는 이유로 해당 기사를 쓴 기자의 실명과 전화번호를 고의로 공개해 인신공격을 유도함으로써 언론에 재갈을 물리고 통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며 "여타 다른 독재국가의 일이 아니다. 바로 법관 출신으로 전직 법무부장관인 추 전 장관이 직접 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장 대변인은 "기자는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공익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이러한 기자를 개인적으로 인신공격함으로써 자유로운 취재활동을 막는 것은 민주주의의 후퇴이며 독재의 시작"이라며 "여권의 언론중재법 개정이 위와 같은 저의를 가진 언론 통제의 시발점이라는 의심이 드는 지점이 아닐 수 없다. 합리적인 비판을 수용하지 않고 오히려 재갈을 물리는 정권은 언제나 국민의 심판을 받아왔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