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Notice: Undefined offset: 0 in /webstore/pub/www/htdocs/svc/article/article.www.template.inc.php on line 4

98%는 충실한데 2%가 허전한 고건

입력 2006-03-09 10:01 수정 2006-03-09 10:01

중앙일보 9일자 오피니언면 '중앙포럼'란에 이 신문 정치부분 전영기 부장대우가 쓴 '고건, 충실함과 허전함'입니다. 네테즌의 사색과 토론을 기대하며 소개합니다.

007년 12월 19일의 대선 투표용지엔 고건 이명박 박근혜 세 사람이 올라갈지 모른다. 현재의 차기주자 '빅3'가 모두 살아남는 경우다. 이명박 박근혜가 출전한다면 한나라당이 후보 단일화에 실패했다는 얘기다. 고건이 나선다면 그가 여권, 혹은 비한나라당 세력의 대표선수 자격증을 땄다는 걸 뜻한다. 야는 분열하고 여는 통합되는 시나리오다. 1여-2야 구도에선 1여가 승리한다. 이는 1987년 1노-3김(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선거전 이래 확립된 대선 승패의 법칙이다.

이런 3강 구도의 형성 확률은 얼마일까.

3강 구도 성사 여부는 '한나라당 이명박-박근혜'조와 '비한나라당 고건-정동영'조의 예선 토너먼트전에 달려 있다. 이명박과 박근혜는 워낙 빅 매치다. 1987년의 김영삼과 김대중 같다. 그래서 경선 없이 둘 다 본선에 나설 수 있다. 3강 구도를 관측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고건과 정동영은 어떨까. 고건은 지지율이 힘이고 정동영은 세력이 강하다. 두 사람의 우열은 5.31 지방선거에서 가려질 것이다. 호남이 승부처다. 민주당이 차지하고 있는 광주시장·전남지사와 열린우리당이 확보하고 있는 전북지사의 문제다. 고건과 정동영은 호남이 근거지다. 전주북중 선후배 사이다. 둘 다 호남에서 배타적인 지지가 필요하다. 정치운명적으로 모순관계다. 김대중·노무현 후보도 호남의 절대적 지지를 기초로 대통령이 됐다. 호남 유권자들은 이를 '전략적 투표'라고 불렀다.

둘의 경쟁은 링 위의 격투방식이 아니다. 축구의 승부차기처럼 순서가 있다.

정동영이 먼저 공을 찬다. 민주당이 지키는 광주시장이나 전남지사에 한 골이라도 넣었다고 치자. 그러면 호남의 대표권은 자연스럽게 정동영 쪽으로 쏠린다.

정동영이 골을 못 넣으면 지방선거 뒤엔 고건이 공을 찰 것이다. 대선 주자가 없는 민주당, 정동영의 실패로 흔들리는 열린우리당, 충청권에 둥지를 튼 국민중심당을 끌어 모으겠다는 승부킥이다. 고건발 정계개편은 이것을 말한다. 12일 두 사람이 만나기로 한 모양이다. 아마 깊은 얘기는 못 나눌 것이다. 정동영은 지방선거 전을 말하고 싶어하는데 고건의 생각은 선거 후에 가 있기 때문이다.

고건에겐 98%의 충실함이 있다. '정성을 다하면 국민이 감동한다'는 지성감민(至誠感民)의 충실함이다. 청렴·전문성·통합·신뢰·소신·원칙·실용의 안정감이다. 이 덕목들이 혼돈의 시대에 지친 정치 소비자들의 마음을 잡았다. 장외 정치인의 불가사의한 지지율은 여기서 나왔다.

2%의 허전함도 있다. 그를 2인자처럼 보이게 하는 요소다. 눈 위에 첫발자국을 남기지 못하는 이미지다. 안정적 관리자형, 행정형 리더십의 건조함 같은 것이다. 예컨대 고건은 서울시장을 두 번 하면서 지하철 5, 6, 7, 8호선 160km를 동시에 착수하고 완성했다. 서울을 세계 5대 지하철 도시로 만든 주인공이다. 그런데 이명박의 '화려한 청계천'은 각광받지만 그곳으로 안내하는 '지하의 인프라'는 기억되지 않는다. 청계천 복원은 1%의 가능성에 도전한 정치행위지만, 2기 지하철 건설은 법령과 지위에 의지한 행정행위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 소비자의 마음속 저 깊은 곳엔 창조와 도전, 야성에 대한 갈망이 있다. 이 때문에 지지율 조사에선 이렇게 답변하고 투표소에선 저렇게 표를 찍는 일이 벌어진다. 마음에 몇 겹의 꺼풀이 있는 것이다. 고건이 차기 정치에서 성과를 내려면 유권자 마음속 저 깊은 곳을 건드려야 한다. 더 선명하고, 더 내던지고, 더 도전적이어야 한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전·충청·세종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윤서인의 뉴데툰

특종

미디어비평

뉴데일리 칼럼 프린트 버전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