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에 5개월치 매매·전세 실거래 주소 요청거래 추적·갭투자 실태 파악…맞춤형 규제 준비 추진
-
- ▲ 서울시청 ⓒ정상윤 기자
서울 아파트 가격이 20주 연속 오르고 신고가 거래가 속출하는 가운데 서울시가 시내 주택 거래 실태를 정밀 분석하기 위해 아파트 실거래 주소 전수조사에 착수했다.주택담보대출(주담대) 의존도와 갭투자 비중 등 자치구별 거래 성향을 파악해 맞춤형 규제 카드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20일 서울시에 따르면 부동산정책개발센터는 이달 중순 국토교통부에 올해 1~5월 서울 전역의 아파트 매매·전세 거래에 대한 실거래 주소 정보를 요청했다.부동산정책개발센터는 부동산 가격 모니터링과 거래·대출 정보 분석, 정책 개발을 전담하는 조직으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등으로 불거진 정책 혼선을 계기로 지난달 신설됐다.센터 관계자는 "확보된 주소를 기반으로 등기부등본을 열람해 주담대 비중과 갭투자 여부 자치구별 거래 패턴 등을 분석할 계획이다"고 설명했다.또 "강남 3구와 도봉구 등 자치구별로 거래 양상이 확연히 다르다"며 "정밀 분석을 통해 지역 맞춤형 대응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이 같은 대응은 최근 서울 부동산 시장이 강남을 넘어 성동·마포 등 비강남권으로 확산되며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5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7569건으로 전월 5148건과 비교해 약 47% 증가했다.가격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셋째 주(16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36% 상승해 2018년 9월 이후 6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주간 상승폭을 기록했다.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지 않은 성동구·마포구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잇따르고 있다.성동구 서울숲아이파크리버포레 전용 84㎡는 지난달 34억 9000만원에 거래돼 최고가를 갈아치웠고 마포래미안푸르지오도 전 평형에서 신고가를 경신했다.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11일 서울시의회 시정질문에서 "성동구는 집값 상승 속도가 빠른 만큼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비상 상황이 되면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