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CJ대한통운, 한진 연달아 도입택배업계 "생존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노조 "택배기사 건강권, 휴식권 보장해야"과거 본사 점거농성 등 극한대립은 공멸
-
- ▲ 택배업계가 올해 들어 주 7일 배송 도입을 본격화하고 있다. ⓒ뉴데일리DB
쿠팡이 쏘아올린 로켓배송으로 인해 택배업계의 주 7일 배송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업체들은 생존을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항변하는 반면, 택배노조는 택배기사들의 건강권, 휴식권이 보장돼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주 7일 배송 트렌드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라는 점에서 상생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택배업계의 주 7일 배송이 본격화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올해 1월 5일부터 도입했으며, ㈜한진은 지난달 27일부터 시범운영에 돌입했다.롯데글로벌로지스는 현재 IPO에 주력하고 있어 도입 시점이 늦춰지고 있지만 결국 주 7일 배송에 합류할 것으로 예상된다.택배업체들은 현재 상황을 보면 주 7일 배송을 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우선 쿠팡이 로켓배송을 통해 점유율을 높이면서, CJ대한통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업체들은 생존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된 상태다.게다가 고객들은 주문을 하면 당일 또는 익일 새벽에 물품이 도착하는 서비스에 익숙해져 있다. 한 번 편리했던 경험을 잊을 수 없으니 계속 빠른 배송을 찾게 되고, 기업들도 이에 대응하는 건 당연한 선택이다.일각에서는 주 7일 배송 사안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고객들이 주말 배송, 빠른 배송을 원하기 때문이라는 진단을 하고 있다.택배노조 측도 이런 상황을 모르지 않기 때문에 “주 7일 배송 자체에 반대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노사 합의 등 가이드라인이 없다면 택배기사들이 무한 경쟁 체제에 내몰리게 될 수 있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
- ▲ 양측 모두 상생의 방안을 찾아야 할 시점이다. ⓒ뉴데일리DB
택배기사들의 건강권, 휴식권이 침해되거나 최악의 경우 과로사 문제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현재 택배현장에서는 주 7일 배송 도입 이후 이런저런 진통을 겪고 있다. 특히 한진의 경우 노조에서 졸속 도입이라면서 반발하고 있으며, 일부 전략사를 대상으로 배송 거부를 예고한 상태다.그러나 양측 모두 극한의 대립보다는 대화와 타협을 통해 상생의 길을 마련해야 할 때다. 일단 업체들과 택배노조 모두 주 7일 배송에 대한 필요성에는 공감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인 요인이다.글로벌 경기침체가 계속되면서 국내에서도 소비 위축으로 인한 택배 수요가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택배업체들은 주 7일 배송 시스템을 갖추기 위한 초기 투자와 안정화를 위한 비용으로 인해 당분간 부진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업체들이 생존 기반을 마련하지 못하면 택배기사들도 일할 기회가 줄어들거나 일할 터전이 없어질 수 있다. 특히 과거 CJ대한통운 본사 점거 등 극단적인 대립을 선택한다면 그 끝은 공멸일 수밖에 없다.주 7일 배송이 피할 수 없는 대세,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라면 시스템이 정착되고 현장에서 진통을 줄일 수 있는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택배업체들은 ‘인력 갈아넣기’ 등 일각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도록 신뢰감을 줘야 한다. 택배노조 또한 업계의 상황을 감안해 과도한 요구는 자제해야 한다. 양측 모두 상생의 묘수를 찾는 게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