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성장률 달성 견인 4분기 성장률 수준당국 소비유도정책 속 소매판매 4.6% 증가신에너지차-로봇 주도 속 공업생산 6.5% 증가"정책 효과로 양호…외부 불확실성-내수 회복력 과제"
-
- ▲ 중국 경제. ⓒ뉴데일리경제 DB
올해 1분기(1~3월) 중국은 5.4%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고 국가통계국이 16일 발표했다.국가통계국은 이날 1분기 중국 국내총생산(GDP)이 물가변동을 조정한 실질로 전년동기대비 5.4% 증가했다고 전했다.로이터통신(+5.1%)과 블룸버그통신(+5.2%)이 집계한 시장전망치를 웃돈 것이다. 또 지난해 연간 성장률 목표(5% 안팎) 달성을 이끈 전분기의 '깜짝' 성장률 5.4%와 동일한 수준이기도 하다.중국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올해 '5% 안팎' 성장률 목표를 세우면서 '내수 진작'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지난해부터 이어진 당국의 소비 유도 정책 속에 1분기 소매판매는 전년대비 4.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1분기 공업생산은 전년동기대비 6.5% 늘었다. 특히 △신에너지차 45.4% △3D프린팅 설비 44.9% △공업용 로봇 26.0% 등의 생산 증가가 상승세를 이끌었다고 국가통계국은 설명했다.1분기 고정자산투자는 전년동기대비 4.2% 늘었으나, 부동산개발 투자는 9.9% 감소해 부동산 침체가 계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자산투자는 농촌을 뺀 공장·도로·전력망·부동산 등에 대한 자본투자 변화를 보여준다.1분기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동기대비 0.1% 하락했고, 3월 CPI 역시 0.1% 떨어져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우려를 해소하지는 못했다.1분기 실업률은 5.3%로, 전년동기 5.2%에 비해 다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3월 소매판매는 전년동기대비 5.9% 증가해 1~2월(4.0%)보다 크게 높아졌고, 로이터가 전망한 4.2%에 비해서도 크게 웃돌았다. 소매판매는 백화점·편의점 등 다양한 유형의 소매점 판매 수치로, 내수 경기 가늠자로 여겨진다.3월 산업생산도 7.7% 증가해 로이터 전망치 5.8%를 크게 웃돌았다.국가통계국은 "1분기 중국 경제는 정책 효과가 점진적으로 반영돼 양호한 출발을 했다"며 "여전히 외부 환경의 불확실성과 내수 회복력이 부족한 점 등은 과제로 남아있다"고 평가했다.블룸버그는 "이번 통계는 미국이 4월부터 대폭 인상한 관세가 부과되기 이전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며 "중국은 관세의 충격을 상쇄하기 위해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는 내수 수요를 신속하게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