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90일 유예' 발표 전날, 최대 16.5만 달러 주식 매입민주, '내부자 거래' 가능성 조사 촉구트럼프 대통령 '시장 조작 혐의' 조사 주장도
-
- ▲ 매조리 테일러 그린 공화당 하원의원이 의회에 신고한 주식거래 내역 갈무리.ⓒ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갑작스럽게 상호관세 유예를 발표한 지난 9일, 친(親)트럼프 계열의 공화당 하원의원이 최대 수십만달러 주식을 매입한 것으로 확인됐다.15일(현지시각) 뉴욕타임스(NYT)·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매조리 테일러 그린 공화당 하원의원(조지아)은 지난 8일과 9일 이틀에 걸쳐 주식거래 21건을 의회에 보고했다. 매수 금액은 2만1000~31만5000달러 규모다. 매수 종목에는 아마존, 테슬라, 애플, 엔비디아, 퀄컴 등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조치로 등락을 거듭한 주요 기술주가 포함됐다.미국 하원의원은 주식 거래에 대해 30일 이내에 대략적인 금액을 기재해 의회에 신고해야 한다.블룸버그는 '관세 90일 유예' 발표 전날인 8일 거래 금액이 1만1000달러에서 16만5000달러 사이로 추산된다고 보도했다.그린 의원은 이 기간 5만달러에서 10만달러 사이의 미국 국채 매도도 실시했다.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9일 오전 "지금은 매수 적기"라며 "침착하라. 모든 것이 잘될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당시 상호관세 발표의 여파로 미국 증시는 급락세를 나타냈다.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이 "절대 변경되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으나, 9일 낮 갑작스럽게 '90일 유예' 조치를 내놨다. 이에 따라 뉴욕 증시는 깜짝 반등했다.이후 뉴욕 증시는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그린 의원이 매입한 주식 대부분은 매입 당시 대비 높은 가격대라고 미국 언론은 전했다.야당인 민주당 의원들은 11일 트럼프 대통령의 90일 유예 발표 전에 트럼프 측 인사들이 내부자 거래를 했는지 조사할 것을 당국에 촉구했다. 일부 의원들은 트럼프 대통령을 '시장 조작 혐의'로 조사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