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만에 대남 보도 재개 … 체제 선전에 활용
  •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시도한 3일 서울 용산구 관저 앞에서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체포영장 집행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시스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시도한 3일 서울 용산구 관저 앞에서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체포영장 집행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시스
    북한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발부 소식 등 한국의 정치 상황을 소개하며 대남 관련 보도를 재개했다.

    3일 조선중앙통신은 "괴뢰 한국에서 비상계엄 사태 이후 사상 초유의 탄핵 사태가 연발하고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이 발급되면서 국정이 마비되고 사회·정치적 혼란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이 통과된 것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탄핵, 여야 간 갈등 심화, 탄핵 찬성 집회 개최 등 국내 정세에 관해 상세히 전했다.

    북측은 "온 괴뢰 한국을 소란케 한 특대형 내란 범죄 사건이 있고 난 이후 괴뢰 한국에서는 윤석열 괴뢰와 내란 잔당들의 준동, 당파적 이익을 앞세운 여야 간의 치열한 대립과 암투가 나날이 격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헌정사상 처음으로 대통령과 그 대리에 대한 탄핵안이 연속적으로 통과되고 다음의 대통령 대리들의 탄핵도 예고되고 있다"며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까지 발급돼 괴뢰 한국은 정치적 기능이 마비된 난장판이 돼버렸다"고 밝혔다.

    북측은 또 "외신들은 '한국의 지도부 부재로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 '한국은 정치 동란의 심연 속에 더욱 깊이 빠져들게 됐다',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염불처럼 외쳐댔지만 붕괴된 상태'라고 비난했다"고 했다.

    해당 기사는 앞선 관련 보도와 동일하게 북한 주민들이 열람할 수 있는 노동신문에도 실렸는데, 이는 체제 선전과 내부 단속을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북한은 지난달 16일 윤 대통령의 탄핵안 가결 관련 소식을 보도한 후 한동안 남한 정치 상황을 언급하지 않다가 18일 만에 대남 관련 보도를 재개했다.

    이와 관련, 김인애 통일부 부대변인은 3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은 지난 보도들과 동일하게 별도 평가나 입장 표명 없이 국내 언론 및 외신 인용을 통한 간접 보도 형태로 보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이 남북 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한 이후 대남 관련 보도를 줄이고 있는 상황에서도 간헐적으로 우리의 내부 정치 상황에 대해서는 꾸준히 보도해 온 만큼 이에 대해 특별히 평가하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