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존 볼턴 "워싱턴선언 미흡… 韓 전술핵 배치가 효과적"

"반쪽짜리 노력… 미국의 北 비핵화 실패"수미 테리 "韓 핵무장 여론 잠재우지 못할 것"

입력 2023-05-03 14:17 수정 2023-05-03 15:59

▲ 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뉴욕=AP/뉴시스

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워싱턴선언'으로 북핵을 억제하기에는 역부족이라며 한국에 전술핵무기를 배치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2일(현지시간) 미 의회 전문매체 '더 힐(THE HILL)'에 기고한 글에서 "한미동맹 70년을 기념하는 자리에서 워싱턴선언이 나왔지만, 안타깝게도 이는 필요한 것에 한참 못 미쳤다"고 평가했다.

특히 볼턴 전 보좌관은 "선언의 온건한 조치로는 북한의 노력을 늦추지 못할 것"이라며 "동북아시아의 긴장은 계속 고조될 것이 확실하다"고 우려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이어 "한국의 여론은 점점 더 독립적인 핵 프로그램을 지지하고 있다"며 "증가하고 있는 중국과 북한의 핵 및 탄도미사일 위협에 대한 바이든의 대응은 한국의 우려를 완화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미국이 한국에 전술핵무기를 배치하면 미군과 한국군을 방어하는 데 즉시 사용할 수 있고, 이는 오히려 잠수함 배치보다 효과적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전술핵 배치는) 한국이 핵 보유국이 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볼턴 전 보좌관은 워싱턴선언을 "북한의 비핵화를 이끌어내지 못한 미국의 실패"라고 규정하기도 했다. "미국이 (북핵) 위협을 제거하거나 끝내는 것이 아니라 단지 관리하는 것에 그쳤다"는 비판이다.

아울러 볼턴 전 보좌관은 "(워싱턴선언은) 책임 있는 정치가가 아닌 관료들의 용어에 불과하다"며 "북핵 억제를 포기한 것 같다는 느낌도 든다"고 분석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미국의 안보를 강화하려는 바이든의 반쪽짜리 노력은 2024년 대선에서 중요한 정치적 취약점이 될 것"이라며 "공화당이 이 문제를 쟁점으로 삼을 재치가 있는지는 두고 볼 일"이라고 언급했다.

수미 테리 윌슨센터 아시아국장도 이날 조지워싱턴대 한국학연구소 웨비나에서 "워싱턴선언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단계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자체 핵 무장을 원하는 한국 여론을 잠재우지는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테리 국장은 "한국의 자체 핵 무장이나 최소한 미국의 전술핵 재배치, 핵 공유 등 워싱턴선언에 담기지 않은 조치에 따른 지지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테리 국장은 다만 "지금 시점에서 워싱턴선언은 적정한 타협"이라며 "이는 바이든 행정부가 한국의 우려를 민감하게 받아들인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구·경북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특종

미디어비평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