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 구명조끼, 무선주파수 도달거리 15㎞ 충족 못해
  • 청해부대 8진 요원들이 문무대왕함 함상에서 선박 내부 목표지점으로 기동하는 훈련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청해부대 8진 요원들이 문무대왕함 함상에서 선박 내부 목표지점으로 기동하는 훈련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해군이 지난해 천안함 폭침을 계기로 새로 도입한 무선주파수인식(RFID) 구명조끼의 기능이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조끼는 현재 소말리아에서 해적소탕 임무를 수행하는 청해부대 등 대테러 및 선박검색작전 부대원에게 지급돼 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정미경 의원이 30일 해군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군은 작년 천안함 폭침 이후 RFID 구명조끼 구입을 위해 6천만원의 예비비를 사용, 경쟁입찰을 통해 R사와 I사를 공급 업체로 선정했다.

    해군은 지난해 12월 이들 업체로부터 조끼에 부착할 수 있는 송신기 100대, 수신기 4대를 2천420만원에 구입하고 나머지 3천580만원은 불용 처리했다.

    시범사업이었던만큼 구명조끼를 추가 구입하지 않고 남은 예산은 불용 처리한 것이라고 해군은 설명했다.

    그러나 두 업체가 납품한 RFID 구명조끼는 해군에서 요구하는 통달거리(무선주파수 도달거리) 15㎞를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파도가 치는 바다에서는 통달거리가 평지보다 훨씬 짧은데도 납품된 구명조끼의 해상 통달거리는 15㎞에 미치지 못했다.

    또 조끼는 장병이 물에 빠졌을 때 송수신이 자동으로 되는게 아니라 SOS 버튼을 눌러야 되는 제품이어서, 바다에 빠진 위기상황에서는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해군은 시험 과정에서 이 같은 문제가 발생했는데도 납품된 무선조끼 100개를 청해부대 등 대테러 및 선박검색 대원에게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군은 두 업체에 대해 부실한 기능을 보완하도록 요청한 상태이다.

    정 의원은 “최저가에 낙찰받은 두 업체가 올해 안에 성능이 개선된 장비를 개발할 지도 알 수 없다. 장병 개개인의 생명과 안전을 소중히 여겨야 우리 장병도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