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나라당 이명박 대선후보는 "이제 분배를 위해 성장을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5일 경기도 광명시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열린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 초청 특강에서 IT 기반의 유비쿼터스 복지한국(U-Welfare Korea) 건설, 기업 및 개인의 공헌과 기부문화 활성화 대책 등 2차 복지정책 공약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경제가 성장이 잘 되든, 안되든 복지를 점점 더 보강할 수밖에 없다"며 "경제성장 안되면 예산을 만들 수 없다. 빚을 내든가 세금을 더 올리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경제성장과 복지확대와의 관계를 설명했다. 그는 "'경제성장이 되면 복지하고 안되면 안한다' '성장이 앞이고 분배가 뒤다' 등은 다 소용없는 얘기"라며 "이제 분배를 위해 성장을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성장 못하면 큰 일 나는 것"이라고 지적한 이 후보는 "서유럽같은 복지천국에도 가보면 잘 되는 것 같아도 조금 후퇴하기도 한다"고 소개한 뒤 "그러나 우리는 복지를 점점 더 보강해야하는 시점이다. 앞으로 더 나가야한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경쟁해서 이긴 사람은 계속 잘 하도록 길을 터줘 세금을 많이 내게 만들고, 탈락한 사람도 다시 한번 도전의 기회를 만들어줘야한다고 말했다. 또 원천적으로 경쟁에 참여할 수 없는 약자를 위해서는 국가가 철저히 보호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또 "정치를 하다 보니 말만 하고 다닌다"면서 "일을 해야 하는데 말을 많이 하고 다닌다. 빨리 일할 수 있는 시간 가져야 할 것 같은데, 그러려면 12월19일이 지나야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해, 자신의 실천력을 강조하면서 대권의지를 피력했다. 그는 "요즘 주로 말을 많이 하는 쪽으로 하다보니, 집에 돌아가면 내가 오늘 무슨 보람있는 일 했나 하는 생각한다"며 "내가 지금 하는 말로 정치적 반향이 있고 많은 사람이 영향있지만, 정치적 논쟁이 되면 보람있는 말은 아니었다 생각든다"고 '탈여의도식'입장을 나타냈다.

    이 후보는 "국민이 낼 세금을 안내면 법적으로 문제가 되듯이 그 돈을 흥청망청 쓰는 것도 범죄다. (나라) 살림을 알뜰하게 쓰지 못하면 그것도 범죄"라며 노무현 정권을 비판했다. 그는 "국가 예산 10%만 절감하면 20조원을 절감해 보육비, 장학금을 줄 수 있다. 빚 안지고도 할 것 다하고 살림만 알뜰히 살면 나라빚도 줄일 수 있다"며 "지금처럼 살림 막 살고 빚내고 하면 10년, 20년 지자면 기금도 다 떨어져 연금도 못 줄 것"이라고 말했다.

    2차 복지정책 공약으로 이 후보는 이날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연계 강화와 복지전담인력 증원을 통한 복지전달체계 개선 △ 기업 및 개인의 공헌과 기부문화 활성화 △ 사회 최대 약자인 '장애인 사회권적 주체성' 확보 △ 소모형 빈곤정책에서 '자산형성 지원형'으로 전환한 신개념 가난 예방정책 도입 등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앞서 지난달 28일 충북 청주에서 '어려울 때, 삶의 디딤돌이 되어 드리겠다' '도움이 필요할 때, 기회의 사다리를 놓아 드리겠다'라는 모토의 복지정책 '생의 희망 디딤돌 7대 복지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 후보는 보편적 복지, 예방적 복지, 맞춤형 복지 등 복지시스템 개선을 주장하며 기존 사회안전망 정책과 차별화했다.

    한편 이 후보는 이재오 최고위원의 공개사과에도 "사과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부정적 입장을 밝힌 박근혜 전 대표의 언급과 관련해서는 직접적인 논평을 하지 않았다. 박 전 대표는 이날 "굳이 만날 이유가 없다"며 이 후보와의 회동도 사실상 거부했다. [=광명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