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나라당 진수희 의원은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어떤 검증이든 받을 자세가 돼있다"면서도 "그러나 객관적 팩트가 없는 의혹차원에서만 검증문제가 제기된다면 자해행위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진 의원은 이 전 시장 진영의 공보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진 의원은 27일 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당내 검증논란과 관련해 이같이 말하고 "향후 당 차원에서 검정위원회를 통해 검증한다면 허무맹랑한 공약은 없는지, 당이 지원할 수 있는 타당성을 가진 정책인지를 중심으로 따져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진 의원은 "경선이나 본선을 비롯해 선거자체가 후보에 대한 검증과정이 아니겠냐"며 "어떤 내용이든 검증 자체를 피할 의도는 전혀 없다"고 단언했다.

    당내 자체 검증과정은 필요하겠지만, 후보에 대한 보호장치없는 무차별적 진행이 될 경우 그로 인한 피해는 모든 후보에게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이 진 의원의 지적이다. 진 의원은 "검증을 명분으로, 있지도 않은 의혹을 내세워 네거티브 정치공세가 나온다거나 후보를 음해하고 흠집내서는 곤란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전 시장이나 박근혜 전 대표 등 당내 예비주자들은 이미 서울시장, 국회의원, 당 대표 등 수차례 선거를 통해 기본적인 검증을 거치지 않았느냐"고 덧붙였다.

    "서울시장 선거 기억해야…다 뒤져도 없었다" 검증공세에 자신
    "이제와 공세펴는 것은 문제많은 사람 공천했다는 건가…자가당착"

    이 전 시장에 대한 검증공세에 진 의원은 "지난 2002년 서울시장 선거가 어떤 선거였나 기억해야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진 의원은 "당시에 온갖 정보기관이 샅샅이 (이 전 시장 주변을) 뒤졌고, 상대측 핵심참모가 '뒤져보니 별게 없더라'고 말할 정도로 시장선거를 통해 충분히 검증됐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진 의원은 '초선의원'으로서 '답답함'을 느낀다고도 했다. 그는 "서울시장 선거 당시 우리 손으로 공천해 당선시켰고, 이 전 시장 재임시 청계천 복원 등 이런저런 치적으로 당의 지지도가 오르지 않았느냐"며 "그런 것은 다 어디가고 검증문제에 집착하는 것을 보면 초선으로서 '정치가 이런건가'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진 의원은 "(검증공세를 펴는 진영이 옳다면) 우리 스스로 정말 문제많은 사람을 공천줬다는 얘기가 되지 않느냐"며 "지금에 와서 지지후보가 다르다는 이유 하나로 (이 전 시장에 대한) 음해가 나오는 것을 보면 비애를 느낀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런 모습이 '자가당착'"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경선룰' 합의과정에서 불거진 '여론조사 반영방식'에 대한 입장도 진 의원은 밝혔다. 진 의원은 박 전 대표진영에서 이미 합의된 내용을 이 전 시장측이 '여론조사 4만명'으로 고집하며 뒤엎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실질적인 민심을 반영한다는 취지에서 2(대의원):3(당원):3(일반국민):2(여론조사) 비율에 대한 합의가 있었으며 세부적 방식은 당헌개정소위에서 논의중"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샘플수가 너무 적을 경우 박빙의 승부로 갈라질 때 오차범위가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며 "이럴 경우도 대비하고, 국민참여와 당원의 참여비율을 5:5로 한다는 기본뜻에도 부합시키기위한 안"이라고 주장했다.

    '여론조사 4만명'이 무리하다는 당내 반대 기류에 대해 진 의원은 "혁신위안에서 국민참여방식은 '모집'을 통한 것이었으며, 실제 지방선거에 적용해보니 투표율이 너무 낮아 민심반영취지와는 멀어졌었다"면서 "지난 19일 최고위원회의 보고 당시에 세부합의가 없었는데도 '기존당헌대로 현장투표율에 연동한다'는 식으로 문서변조가 있었기 때문에 오해한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 홍준표 의원에 이어 '당이 중심이 되는 모임(중심모임)'역시 "참여할 '기회'를 5:5로 하자는 것이지 '결과'를 5:5로 반영하자는 것은 아니다"며 박 전 대표측 주장인 '선거인단의 유효투표율에 따른 여론조사 반영' 지지입장을 밝혔다.

    최근 편파보도 논란을 불러온 MBC 'PD수첩'을 옹호하는 듯한 박 전 대표 진영의 발언에 진 의원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진 의원은 "당에서도 문제가 있다고 판단, 강재섭 대표가 항의방문까지 보냈는데 특정후보의 유불리를 먼저 생각하는 방식은 곤란하다"며 "방송내용에서도 이 전 시장과는 연관성이 없는 화면을 내보내는 등 정치적 의도가 다분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김유찬이라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이 그대로 그의 주장을 다 내보냈다는 것에서 정치적 의도를 충분히 의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박 전 대표측 이혜훈 의원은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킨 언론 본연의 책무를 다한 것"이라고 'PD수첩'을 치켜세웠다.

    "당에서 항의방문까지 했는데
    " 박근혜측 'PD수첩'옹호에 '어이없다'
    "이명박은 근거있는 지지율, 쉽게 빠질 일 없다"


    진 의원은 또 이 전 시장의 지지율에 대한 소위 '거품론'을 강하게 반박했다. 그는 "노무현 정권에서 무능에 치를 떨었던 국민들이 바라는 것이 능력있는 지도자, 일잘하고 경제살릴 수 있는 지도자가 아니냐"며 "이러한 요구가 이 전 시장의 지지율에 담겨있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특히 진 의원은 "지금 시대정신은 '경제'와 '통합' 두가지"라고 지적한 뒤, "지역, 계층, 세대를 넘는 이 전 시장의 지지율을 볼 때 그를 '국민후보'라고 불러도 적합하다"고 강조했다.

    진 의원은 "여권에서 서서히 대선주자가 압축되면 일정부분 지지율 조정기가 있을 것"이라면서도 "'경제'와 '통합'이라는 시대정신에서 이 전 시장을 압도할 주자가 나오지않는 이상, 대세의 흐름은 꺾이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지난 2월 다소 주춤했던 이 전 시장의 상승세역시 '네거티브 공세'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고건 전 국무총리의 불출마로 인한 효과가 너무 높았기 때문에 '조정기'를 겪은 것이라는 것이 진 의원의 분석이다. 그는 "이 전 시장의 지지율은 근거가 있는 지지율"이라며 "가랑비에 옷 젖는다고 큰 흐름이 바뀌지 않을 것이며, 충분히 젖은 옷을 말릴 정책과 콘텐츠를 갖고 있다"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한나라당 진수희 의원 "이명박의 '경제' '통합'은 시대정신에 부합"

    "지방도시에서 기자를 꿈꾸며 사회학과를 지원했던 내가 정책연구를 하다가 이제 국회로 들어왔으니 비교적 일관된 길을 걸어온 셈 아닐까(진수희 의원 홈페이지에서)"

    한나라당 진수희 의원은 17대 국회에 비례대표로 입성하면서, '학교를 공부하는 곳으로 바꾸는 것'과 '일하는 여성들의 가장 절실한 요구인 보육시스템과 보육서비스의 질이 개선되는데 일조하는 것'을 '국회의원 진수희의 2가지 아젠다'라고 다짐했다.

    처음 배지를 달며 새긴 진 의원의 이 두가지 다짐이 '고등학교까지는 돈 걱정하지않고 다닐 수 있는 사회' '의무보육정책 실현'을 주장하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조력자가 되도록 했는지 모를 일이지만, 진 의원은 현재 공보분야를 맡아 이 전 시장을 적극 돕는 '측근'이다.

    진 의원은 일각의 '대선주자들의 줄세우기'라는 비판에 "정치인으로서 정치적 판단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줄서기로 몰아붙이는 것은 잘못"이라고 자신있게 반박했다. 오히려 그는 "경제를 살릴 수 있는 경험을 갖고 있고, 한나라당의 전통적 취약지대였던 수도권과 호남, 젊은 층에서도 지지를 받고 있는 통합의 리더로서 이 전 시장은 '국민후보'라 불릴만 하지않느냐"며 더욱 적극적인 지지를 표현했다. 이도 모자라다 싶었는지 진 의원은 "왠지 이 전 시장이 경제를 이야기하면 믿음이 가지않느냐"며 되묻기까지 했다.

    뉴데일리와 가진 27일 인터뷰 도중 진 의원은 당내 경선이 지나치게 과열되고 있다는 점에 수시로 동의하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지지후보를 떠나 같은 당 소속으로서 본선에서 합심해야할 동지애가 상처입을까 인터뷰에도 조심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그는 "초선의원으로서 정치라는게…"라며 못내 답답함을 전하기도 했다.

    한나라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를 통해 정치권에 입문한 진 의원은 연구위원으로 활동하며 연구소장을 지낸 박근혜 전 대표측 유승민 의원과 많은 인연을 맺어왔으며, 이혜훈 의원과도 지난 2002년 대선을 함께 치르며 동거동락했었다. 진 의원은 "현재는 첨예한 대립을 보이고 있지만, 본선에서는 힘을 모아야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주요약력

    △ 여의도연구소 선임연구위원 △ 세종대 겸임교수 △ 한국여성정치문화연구소 감사 △ 17대 국회의원 △ 국회여성정책포럼 대표 △ 한나라당 보육특별위원회 위원장 △ 한나라당 제6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 △ 한나라당 여성상임전국위원 △ 한나라당 원내공보부대표 △ 한나라당 아이키우기좋은나라특위 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