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정치학회와 관훈클럽이 2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한국 대통령 리더십 학술회의'에서 역대 대통령 지지도 1위인 박정희 전 대통령과 꼴찌인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평가가 각각 '현실타파'와 '현실외면'이라는 이미지로 뚜렷이 대비돼 눈길을 끌었다.

    "박정희는 60년대 현실문제인 가난을 타파하고 경제성장 실천"

    부산대 이철순 교수는 "선건설 후민주를 목표로 한 박 전 대통령은 지독한 현실주의자였다"며 "국가적으로 시급한 가난이란 문제를 파악하고 어느 것이 옳은 해법인지 항상 고민했던 대통령"이라고 박 전 대통령을 평가했다.

    김민전 경희대 교수는 "민주화와 경제성장을 동시에 실천할 수 없다. 어느 쪽을 먼저 하는 것이 효율적인가 생각해 봐야 한다"며 "당시 한국의 현실과 같이 과도기 국가들은 선경제 후민주를 선택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박 대통령의 결단력은 중요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완범 한국학중앙연구원은 "박 전 대통령 시기엔 경제성장이 시대적 요구였고 따라서 경제성장은 박정희 개인의 노력만이 아닌 모두의 업적으로 평가돼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경제성장을 이룩한 게 사실이지만 리더와 국민이 다 같이 노력한 성과물이라면 리더에 가중치를 줘야 하는 것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현실문제 외면한 노무현, 통치전략도 애초부터 없어"

    노 대통령에 대한 평가는 조심스러웠지만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노 대통령과 시민참여'라는 주제 발표를 맡은 안병진 창원대 교수는 "노 대통령의 리더십은 현실문제를 외면한 '토플러주의' '포퓰리즘'"라고 규정한 뒤 "현재 상황이나 민심을 외면한 토플러주의를 가진 그는 미래과제에만 집착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연정, 개헌 등 몇 차례 사례에서 볼 수 있듯 현실에서 고립을 자초했다. 또 기득권측과 대립각만을 세운 포퓰리즘은 자신의 미래 과제를 실천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해 결과적으로 국가통치의 약화만을 초래했다"고 설명했다.

    안 교수는 "노 대통령은 통치전략 또한  놀라울 정도로 없었다"며 "미래 과제에만 집착하는 토플러주의를 채택한 노 대통령은 이를 실현하려면 통치전략이라도 견고해야 하는데 통치전략은 애초부터 없었다. 사전 준비부터 전략이 없으니 결국 국정의 혼란을 야기했다"고 분석했다. 안 교수는 "노 대통령은 통치 체제의 일관성도 없었고 정책의 지속적 관리라는 측면에서도 리더십의 한계를 보여줬다"고 평가절하했다.

    부산대 이 교수는 "노 정부는 '평화' '인권' '보편적가치'라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이는 현실은 외면하고 지나치게 명분론에 치우쳤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경희대 김 교수도 "나쁜 지휘관은 있지만 나쁜 군대는 없다. 리더십을 개인 자질에서만 갈구하다 보면 항상 국민은 실망할 수 밖에 없다. 노 대통령을 보면 지도자의 감정관리능력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수 있다"고 실망감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