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일보 14일 사설 <이런 '6.15 축전' 왜 필요한가>입니다. 네티즌의 사색과 토론을 기대하며 소개합니다.

    오늘부터 광주에서 열리는 6·15 민족통일대축전에 우려의 눈길이 쏠리고 있다. 대법원이 이적단체로 규정한 범민련 남측본부 간부들이 행사에 대거 참여하는데다 역시 이적단체로 규정된 한총련과 범민련이 별도의 집회를 열어 미군 철수를 포함한 ‘반미’ ‘우리 민족끼리’ 등 북한의 상투적 선전 선동을 되풀이할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행사의 본질이 남북 화해와 협력 추구라면 이처럼 북한에 동조하는 이적단체들이 날뛰는 정치선전장으로 변질되는 것을 보고만 있어야 하는지 의문이다.

    애당초 6·15 축전은 6·15 공동선언을 기념하는 남북 공동행사다. 북한의 통일전선전술에 의식·무의식적으로 맞장구치는, 혹은 북한식 시각과 이념에 편향된 남한의 친북 좌파가 뛰놀도록 펴준 멍석이 아니다. 그런데도 자칫하면 남한 사회를 교란하고 국민간의 갈등을 촉발하며 안보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그런 쪽으로 흘러간다면 그같은 행사가 왜 굳이 필요한지 이해할 수 없다.

    물론 6·15 공동선언은 나름대로 기념할 만한 의미가 있다. 일단 개최 과정과는 별개로 어쨌든 역사적이랄 수 있는 분단 사상 최초의 남북정상회담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그러나 내용상 그보다 훨씬 더 포괄적이고 의미있는 것은 1992년의 남북기본합의서다. 실효적 측면에서 6·15 공동선언에 매달려 그것을 기념하고 실천방안을 논의하기보다는 남북기본합의서의 실천을 추진하는 게 옳다.

    실제로 북한이 사용하는 ‘6·15’의 용례를 보면 그것을 보는 남북한의 시각차가 그대로 드러난다. 남측이 화해,적어도 상호 이해를 뜻하는 것으로 이해하는데 비해 북측은 오로지 남북관계에서 자신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남한 내 친북 좌파와 보수 우파를 각각 ‘6·15 지지세력’ ‘6·15 반대세력’으로 지칭한다든지 자신들의 의사와 다를 때는 ‘6·15에 대한 배신’이라고 주장하는 따위가 그 예다. 그렇다면 ‘6·15 정신’이 뭔지 남북한 간에 먼저 공통의 개념부터 정의하는 게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