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선고 앞두고 민주 계파별 행동 각양각색친명계, '거물급 이재명' 이미지 만들기 골몰당선 무효형 선고에도 리더십 상처 최소화 방안비명계는 외부 움직임 주목 … "결집 도모 가능"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1심 선고를 사흘 앞두고 민주당 내 친명(친이재명)계가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선고를 앞두고 상황을 점검하며 이 대표 리더십 지키기에 만전을 기하는 친명 인사들과 달리 비명(비이재명) 인사들은 삼삼오오 소통하며 재판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친명 좌장'으로 불리는 정성호 민주당 의원은 12일 KBS 라디오 '젼격시사'에 나와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재판(15일)과 위증교사 재판(25일) 1심 선고를 앞두고 무고를 주장했다.정 의원은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는) 공무원으로서 상급 기관인 국토교통부의 여러 명령이나 확인·지시를 압박으로 느낄 수 있기에 압박을 '협박'으로 표현한 차이의 문제라 죄가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위증교사 재판도) 마찬가지다. 재판에 회부된 피고인이 관련자에게 있는 그대로 얘기해 달라고 하는 것이 위증교사로 봐야 하겠느냐"고 주장했다.이처럼 민주당 내 주류인 친명계는 무죄를 주장하면서도 재판 대응에 총력전을 펴고 있다. 사법부에 보란 듯이 세를 과시하며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지난 2일과 9일 장외투쟁은 서울 중심부에서 당원들을 모아 이 대표 재판에 대한 성토를 쏟아냈다. 정적을 제거하기 위한 윤석열 정부의 정치 탄압이라는 일관된 기조다. 첫 번째 집회에서 경찰 추산 1만7000명이, 두 번째 집회는 1만5000명이 모였다. 민주당은 이 대표 공직선거법 1심 선고 하루 뒤인 오는 16일 세 번째 장외집회를 계획하고 있다.민주당 내에서는 이 대표의 재판에 대응하는 당 기구가 만들어졌다. '검찰독재위원회'와 '사법정의특별위원회'가 대표적이다. 당내 법조인 출신 친명계 인사들이 나서 이 대표 재판과 관련한 대응에 몰두하고 있다.'검독위'는 검찰의 이 대표 수사 과정을 사사건건 트집 잡고 있다. 대북 송금 사건에서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9년 6개월 형이 선고되자, 검찰의 회유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검사 탄핵에도 앞장서며 수사기관을 압박했다.'사법정의특위'는 자신들만의 방어 논리를 만들어 여론전에 집중하고 있다. 친명 성향의 유튜버들을 불러 법률 특강을 하는가 하면, 당원들에게 법리를 정리해 전파하고 있다.이재명의 홍위병으로 불리는 '더민주전국혁신회의'는 이 대표 재판부에 보낼 무죄 탄원서 서명 운동을 펴고 있다. 11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던 서명운동을 18일까지 연장해 오는 25일 열리는 이 대표 위증교사 재판에 대비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들은 15일 이 대표의 선고가 있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 앞에서도 집회를 열어 세를 과시할 예정이다.성남시장 시절 이 대표가 창립 멤버로 참여했던 '전국자치분권민주지도자회의'(KDLC)도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 대표의 무죄 판결을 촉구했다.
-
사법부 압박과 함께 친명계에서는 향후 대응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김건희특검법을 중심으로 대여 공세를 강화하는 것은 물론, 이 대표의 이미지 메이킹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특히 개헌과 민생 투트랙으로 정치 지도자 이미지를 굳건히 하겠다는 것이 이들의 생각이다. 자칫 1심 결과에 따라 리더십에 균열이 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이 대표를 '급이 다른 정치인'으로 보이도록 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차기 대권 주자로서 굵직한 정치 의제를 띄우며 다른 정치인과 체급 자체를 달리 가져가겠다는 계산이다.이에 대해 민주당의 한 최고위원은 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대법원 판결 직전까지 재판 결과에 연연하지 않고 우리 할 일을 할 것"이라며 "이 대표가 들여다보고 있는 개헌 전략 등과 민생회복지원금 등 대표 브랜드들을 아젠다로 던지며 급을 달리 가져갈 것"이라고 했다.반면, 당내에서 별다른 목소리를 내지 않던 비명계는 사태를 관망하며 삼삼오오 향후 대응을 고민하고 있다. 당내에서는 원외 인사들과 소통을 강화하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이 대표가 1심에서 당선 무효형을 선고받으면 원외 대권 주자군에서 메시지가 나올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민주당 소속인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정세균 전 국회의장,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 김동연 경기도지사 측에서도 이 대표의 1심 재판 결과를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이 대표에게 당내 권력 투쟁에 밀려 짐을 싼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 측도 마찬가지다. 공직선거법 재판에서 당선무효형이 확정되면 5년간 피선거권이 제한돼 이 대표의 대선 출마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비명계로 불리는 한 의원은 "이미 이 대표의 사람들이 당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기에 (이 대표에게 당선 무효형이 선고되더라도) 즉각적인 상황 변화는 힘들다"면서도 "당선 무효형이 나오면 당 안에서 뭘 바꾸려 한다기보단 바깥쪽에서 정치적 움직임이 나올 것 같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