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표 사퇴…민주당 박찬대 대행 체제"대표 출마 안 하기로 했다면 사퇴 않았을 것"경쟁 고조 與 분위기와 대조…李 리스크 우려도
-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를 마치고 당대표직 사임 의사를 밝히고 있다. ⓒ이종현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대표직에서 사퇴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 이후 24년간 연임 대표가 없었던 민주당에서 이 대표가 연임 도전을 공식화한 것이다.이 대표는 2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직후 짤막한 사임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 대표의 임기는 오는 8월 18일로 예정된 민주당 전당대회 까지였는데, 임기를 2달여 앞두고 당대표직을 사퇴했다.그는 "최고위를 마지막으로 민주당 대표직을 사임하게 됐다"며 "대한민국 정치를 책임지고 있는 정치인의 한 사람으로서 깊은 책임감과 죄송함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이어 "국민과 나라가 당면한 거대 위기 앞에서 과연 민주당과 이재명은 어떤 길을 가야 할 것인지를 깊이 고민하겠다"며 "민주당 전당대회는 의례적인 당원들의 축제가 아니라 희망을 잃은 국민께 희망을 만들고 또 새로운 미래를 여는 중요한 모멘텀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이 대표의 사임은 당대표 연임을 위한 포석이다. 이 대표는 당권 재도전과 관련해 "조만간 결정하게 될 것"이라며 "상황을 좀 지켜볼 텐데, 아무래도 출마하지 않을 것으로 확정했다면 사퇴하지는 않았을 것 같다"고 했다.또 이 대표는 "사실 개인적으로 당이나 전체 입장보다 제 개인의 입장을 생각한다면, 여러분 모두가 생각하는 것처럼 지금 상태로 임기를 그대로 마치는 게 가장 유리할 것"이라며 "국민의 입장에서 대한민국 정치에 어떤 게 더 바람직한 지를 우선해서 개인적 입지보다는 전체를 생각해서 결정해야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이 대표가 사퇴하면서 민주당은 전당대회까지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의 당대표 권한대행 체제로 운영된다. 현재 최고위원들도 자리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민주당에서 연임 당대표가 나온 것은 24년 전 김 전 대통령이 마지막이다. 새정치국민회의에서 새천년민주당을 거치며 김 전 대통령이 1997년 5월~2000년 1월, 2000년 1월~2001년 11월까지 연이어 총재를 맡았다. 김 전 대통령은 대통령 취임(1998년 2월) 이후에도 당을 계속 지휘했는데 당시는 대통령이 당 총재직을 겸임하는 것을 용인하는 분위기였다.이후 열린우리당 시절부터는 당내 민주화 분위기가 커지면서 당대표를 연임하지 않는 것이 사실상 민주당의 관례로 굳어져 왔다.당내에서는 우려가 나온다. 국민의힘에서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나경원 의원, 윤상현 의원 등이 당대표에 도전하면서 열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민주당은 '어대명'(어차피 대표는 이재명) 분위기로 흥행 동력을 잃었다는 평가다.게다가 이 대표가 차기 대권을 노리는 상황에서 각종 정치 현안과 맞물리는 리스크를 모두 떠안게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민주당의 한 중진 의원은 24일 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경쟁자가 없는 이 대표가 압도적인 득표를 하면 국민의힘과 비교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이 대표가 당대표를 맡는 동안 계속해서 정치 현안에 대한 공격받게 될 텐데, 가랑비에 옷 젖듯 정치적 데미지가 누적된다고 봐야 한다"고 했다.이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고스란히 당이 가져가야 한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 대표는 현재 7개 사건에 연루돼 4개의 재판을 받고 있다. 법조계에서는 일주일 내내 재판을 받아야 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민주당의 한 재선 의원은 "솔직히 당이 지나치게 이 대표의 재판과 관련한 것에 집중하고 있지 않느냐"면서 "이런 모습을 2년 더 국민들이 참아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