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 더 이상 진보의 전유물은 아니다. 인터넷에서 대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동안 20~30대 젊은 층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인터넷에서 50대 이상 중장년 층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는 것.
조선일보 후원으로 '인터넷정치연구회'(회장 유석진 서강대 교수)가 온라인 전문 조사기관인 '폴에버'에 의뢰해 지난 4월 10일부터 14일까지 네티즌 1500명을 상대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인터넷 공간에 참여하는 네티즌들의 구성과 이념 분포가 모두 보수우위로 바뀌었다.
인터넷에 글을 쓰거나 다른 사람의 글·사진·자료 등을 옮겨 나르는 이른바 '펌질'을 가장 많이 하는 연령층은 5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대의 젊은 네티즌들의 참여와 활동이 많을 것이란 통념을 깨는 결과다.
'지난 2년 동안 온라인에서 정치·사회적인 이슈에 대한 글을 올리거나 다른 사람의 글을 펌질한 경험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50대 이상의 응답자 38%가 '자주 또는 가끔 올린다'고 답해 가장 많았고 20대가 33.5%, 30대 28.4%, 40대 27% 순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이념성향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중도" 42.9% "보수" 29.4% "진보" 27.7%였다. 또 보수성향이라고 밝힌 네티즌의 14.9%가 '인터넷에 글을 쓰거나 펌질을 자주한다'고 대답한 반면 자신을 진보성향이라 밝힌 네티즌은 6.5%에 그쳤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인터넷정치연구회측은 "이번 조사를 통해 인터넷은 진보 진영의 독무대라는 통념이 잘못됐다는 것이 드러났다"고 분석했다. 이 신문은 "2002년 대선 패배와 2004년 탄핵사태 등을 통한 인터넷을 위력을 목격한 보수층이 2004년 중반부터 인터넷에서 대반격을 시작한 것"으로 해석했다.
인터넷정치연구회는 또 이런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네티즌 상대 여론조사와 함께 인터넷 사이트·카페·토론방 등을 분석해고 여론조사는 인터넷진흥원에서 조사한 인터넷 사용 인구비율에 따라 실시됐으며 95% 신뢰수준에 최대 허용오차는 ±2.5이다.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press@newdaily.co.kr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 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