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일보 24일 사설입니다. 네티즌의 사색과 토론을 기대하며 소개합니다.

    자유교원조합(자유교조)이 22일 출범했다. 이들은 창립선언문에서 “글로벌 지식사회를 이끌어갈 새로운 교사상을 창출하고,대한민국 헌법에 기초한 자유민주주의 이념을 교육운동으로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대입 자율화,자립형 사립고 설립 자유,학교별 교원평가 등을 골자로 한 10대 정책과제와 5대 강령을 제시했다.

    이들이 밝힌 정책방향은 전교조와 뚜렷히 대별된다. 자유교조는 전교조가 정치적,계급적 투쟁으로 교육 현장을 황폐화시켰다고 주장하고 투쟁 위주의 적대적 노동운동이 아닌 합리적,평화적 상생의 노동조합 운동을 전개한다고 덧붙였다.

    알다 시피 1989년 설립된 전교조가 교육 민주화에 큰 기여를 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촌지 문화와 교사의 학생 폭력 등 교육 현장에서 비리가 많이 사라진 것에도 전교조의 역할이 컸다. 그러나 ‘참교육’을 내세운 전교조의 초심이 언제부터인가 변질됐고 이들의 투쟁은 정치화했다. 이는 자유교조 탄생의 빌미가 됐다. 지난해 실시한 부산 아태경제협력체(APEC) 계기수업은 그 단적인 예다. 장혜옥 전교조 위원장은 한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교원평가는 반교육적”이라고 했다. 그는 “대학을 평준화해 수능을 없애고 내신으로 선발하자”고도 주장했다. 이처럼 편협한 역사관과 세계관을 심어주고, 다양성을 외면한 전교조의 교육관을 누가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겠는가. ‘내 자식의 담임은 전교조 소속 교사가 아니길 바라는 것’이 많은 학부모의 솔직한 심정일 것이다.

    다만 자유교조의 창립선언문이나 정책과제, 강령이 지나치게 전교조 반대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은 우려스럽다. 전교조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하지만 전교조 자체가 자유교조 탄생의 근거여선 안된다. 정책 대결은 바람직하지만 극단으로 흐를 경우 교육 현장에 갈등과 반목이 깊어지고 그 피해가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학교 현장을 갈등과 투쟁으로 몰아가서는 결코 지지를 받을 수 없다. 상식과 실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데 진력해야 함은 물론이다. 교사의 경쟁력은 학생의 경쟁력으로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