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공자 후손에게 장학금 주겠다"… 카페 운영, 비자금 만들어 횡령한 혐의 김원웅 "사람을 볼 줄 몰라 불상사… 조선일보에 무너져 마음 아파" 입장문국민의힘 "비리 눈 감아준 청와대, 민주당, 이재명은 국민에 사죄하라" 촉구
  • ▲ 김원웅 광복회장. ⓒ뉴데일리
    ▲ 김원웅 광복회장. ⓒ뉴데일리
    비자금을 조성하고 공금을 유용한 의혹을 받는 김원웅 전 광복회장이 16일 불명예 퇴진한 것과 관련, 청와대와 민주당이 입을 닫고 있다.

    보훈처 감사 결과 7200만여 원을 횡령한 정황이 드러난 김 전 회장은 16일 성명을 내고 사퇴의사를 밝혔다. 광복회가 18일 임시총회를 열어 김 전 회장 해임안을 의결하려 하자 스스로 사퇴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김 전 회장은 보훈처가 감사 결과를 발표한 지난 10일에는 "명백한 명예훼손"이라고 주장했고, 전날인 15일까지도 사퇴를 거부했다.

    김 전 회장의 사퇴는 취임 2년8개월 만으로, 광복회장이 개인비리에 연루돼 자진사퇴한 것은 1965년 광복회 창립 이래 57년 만에 최초다.

    국민의힘 "사퇴하면서도 뻔뻔"

    윤재옥 국민의힘 의원은 김 전 회장을 겨냥 "사퇴하는 순간까지 뻔뻔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윤 의원은 1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선거대책본부-원내지도부 연석회의에서 "사람을 볼 줄 몰라서, 감독 관리를 잘못해서 라는 거짓 핑계도 기가 막힌데, 특정 언론사를 거론하면서 마치 언론 탄압을 당한 것처럼 거짓 프레임을 씌워 본인의 치부를 감추는 모습에 국민은 경악한다"면서 "불법행위로 떠나는 순간에도 뻔뻔하기만 하다"고 공격했다.

    김 전 회장이 16일 "사람을 볼 줄 몰랐고, 감독·관리를 잘못해서 이런 불상사가 생긴 것, 전적으로 제 불찰"이라고 말한 것을 겨냥한 발언이다. 

    김 전 회장은 해당 사태를 처음 보도한 "친일 반민족 언론 조선일보와 대척점에 서서 싸워왔다. 그 조선일보·TV조선에 의해 제가 무너지는 것이 더 가슴 아프다"고도 언급했다.

    윤 의원은 "남 탓으로 일관하는 김씨는 사퇴로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엄중한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윤 의원은 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후보를 향해 "김씨를 존경하는 마음의 형이라고 불렀던 민주당 후보에게, 김회장의 어떤 면을 존경한다는 것인지 묻고 싶다"며 "독립운동가 유족과 자녀를 위한 사업에 쓰여야 할 광복회 자금을 횡령해 사욕을 채웠는데도 존경한다는 말인가"라고 비난했다.

    윤 의원은 이어 "광복회장 비리 횡령사태에 대해 이 후보자의 분명한 입장을 밝히기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청와대도 침묵 일관

    청와대가 이번 사태에 대해 침묵하는 것을 두고도 강한 비판이 나왔다.

    김병민 국민의힘 선대본부 대변인은 16일 이 후보의 침묵을 두고 "특수관계이기 때문"이라며 "청와대와 민주당, 이재명 후보도 비겁한 침묵을 깨고 사법정의 구현을 위해 최소한의 책임을 다하라"고 말했다.

    황규환 국민의힘 선대본부 대변인 역시 "그동안 김씨의 숱한 일탈에도 '내로남불'식으로 침묵하며 사태를 이 지경까지 몰고온 청와대와 민주당 역시 국민 앞에 사과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청와대는 김 전 회장이 국회 카페 운영 수익금을 유용했다는 보도가 나온 지난 25일부터 김 전 회장이 사퇴한 다음 날인 17일까지 아무런 의견을 내지 않고 있다.

    김 전 회장은 독립유공자 후손에게 장학금을 지급하겠다는 명분으로 국회에서 운영한 카페에서 개인 비자금을 조성한 의혹을 받는다. 

    보훈처 감사 결과에 따르면 김 회장의 비자금 사용액은 총 7256만원에 이른다. 한복·양복 구입비 440만원, 이발비 33만원, 미등록 마사지 60만원 등의 사용 내역도 확인됐다.

    김 전 회장의 자진사퇴에 보훈처는 성명을 내고 유감을 표명하며 "광복회가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지도·감독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광복회는 정관에 따라 이사회를 통해 회장직무대행을 지명하고, 오는 5월 총회를 거쳐 새 회장을 선출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