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6년 10월 31일,
    언론들은
    [성층권 무인비행선 개발계획이 폐기됐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당시 보도 내용이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 140억 원을 투입했던
    성층권 무인비행선 사업이 무산된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30일 산업자원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에 따르면
    산업자원부가 2001년부터
    [차세대 신기술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했던

    [다목적 성층권 장기체공 무인비행선 개발사업]이
    경제성을 이유로
    기술 개발 5년 만에 용도폐기된 것으로 확인됐다.

    성층권 비행선 사업이란
    정부가 2007년까지 총 456억원을 투입해
    지상 20㎞의 성층권에
    200m 크기의 거대한 비행선을 띄워
    통신중계·기상 이변 및
    산림 감시·공중조기경보체계 구축 등

    용도로 활용하려던 계획을 말한다."


    이 계획은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폐기됐었다.
    그런데 비슷한 계획을 정부 부처들이 공동으로 추진한다.

    방위사업청,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기상청은
    27일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성층권 장기체공 무인비행체
    설계기술 개발사업 착수 회의]를 개최하고
    상호 협력을 위한 공동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 과거 정부가 개발하던 시험용 성층권 무인비행선.
    ▲ 과거 정부가 개발하던 시험용 성층권 무인비행선.

    방사청에 따르면
    [성층권 장기체공 무인비행체 개발사업]은
    [민‧군기술협력 시범사업]이라고 한다.

    이 사업의 목적은
    초경량 무인비행체를 3일 동안 성층권에서 떠있게 하면서
    기상 데이터 획득이나 통신중계 등을 할 수 있는지
    기술적 타당성과 실용성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정부는 이 사업을 위해
    2017년까지
    방사청 180억 원,
    산업통상자원부 190억 원,
    기상청 82억 원 등
    총 452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미래부는
    범부처 협의체 및 민군기술협력 특별위원회를 운영하면서
    부처 간 조정·통제 역할을 맡을 것이라고 한다.

    <문기정> 방사청 획득기획국장의 말이다.

    “이제는 [민과 군이 협력하면 좋은 것]이 아니라
    [민과 군 두 부분의 협력이 필수]인 시대가 됐다.
    오늘 시범사업 착수회의를 계기로
    민군기술협력의 기틀을 다지고,
    창조경제의 시금석이 되기를 희망한다.”

  • 정부는 2017년까지 457억 원을 투입해 성층권 무인비행체를 만들기로 했다.
    ▲ 정부는 2017년까지 457억 원을 투입해 성층권 무인비행체를 만들기로 했다.

    방사청에 따르면
    [성층권 무인 비행체]는
    태양전지를 기반으로 한 복합추진 시스템을
    사용할 것이라고 한다.

    성층권은
    지상 10km의 대류권 위에서부터
    50km 정도의 전리층 아래까지를 말한다.
    평균 기온은 -75℃이고
    대기 비중이 지상의 7% 정도에 불과해
    일반적인 비행체로는 날 수 없다.

    성층권에 장기간 체공할 수 있는 비행체 개발은
    미국, 유럽 등에서도 시도한 바 있다.
    그 첫 번째는 [성층권 비행선]이었다.

    인공위성보다 낮은 고도에서 오랜 기간 떠 있으면서
    적지를 정찰감시하거나
    통신위성의 역할을 대신하는 목적으로 개발을 했었다.

    하지만 지상과 크게 다른 기온, 기압의 차이를 극복할
    적절한 소재를 찾지 못해
    나중에는 [성층권 무인 비행기]로 목표를 수정했다. 

    그 결과 중 가장 성공한 것이
    미국의 차세대 무인정찰기 <글로벌 옵저버>다.

    <글로벌 옵저버>는 수소연료전지 추진체로
    2주 동안 성층권 수준의 하늘에 체공하면서 정보를 수집한다.

  • 미국의 차세대 무인정찰기 글로벌 옵저버. 수소연료전지를 사용한다.
    ▲ 미국의 차세대 무인정찰기 글로벌 옵저버. 수소연료전지를 사용한다.

    특히 미국의 경우에는
    [성층권 비행선] 대신 장기간 체공할 수 있고,
    수송능력이 뛰어난 [하이브리드 비행선]을 개발했다.

    대표적인 [하이브리드 비행선]으로는
    <록히드마틴>의 <P791>과
    보잉의 [하이브리드 열비행선]이 있다.

  • 美록히드 마틴이 개발한 하이브리드 비행선 P-791. 실제 비행시험도 성공했다.
    ▲ 美록히드 마틴이 개발한 하이브리드 비행선 P-791. 실제 비행시험도 성공했다.

    이들 비행선은
    최대 400톤의 화물을 싣고
    최고 속도 180km/h의 속도로 대양을 횡단할 수 있는 데다
    가격도 대형 항공기보다 훨씬 저렴해,
    군사용은 물론 극지탐험, 자원개발, 긴급구호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다국적 기업, 각국 정부, 국제기구들이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