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이후 '굵직한' 사건사고, 재난재해만 14건외교부 “피해 국민 연간 7000여 명…예방이 최선”
  • 2007년 샘물교회의 아프간 선교단 피랍 사건 이후 정부는 <YTN> 등 언론과 홈페이지를 통해 매일 ‘해외여행안전정보’ 방송을 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국민들은 이 정보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는 게 문제다.

    외교부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최근까지 일어난 우리 국민 관련 사건사고, 재난재해, 해적 피랍 사건 등만 14건에 달한다.

    2010년 아이티 지진, 삼호드림호 피랍, 유학생 피습 등

    2010년 1월 13일 아이티에서 강진이 발생, 20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 외교부는 1차로 현지 영사 협력원을 통해 우리 국민의 피해상황을 점검한 뒤 영사업무 겸임국인 駐도미니카 대사관 직원들을 급파, 우리 국민 70여명이 모두 무사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아이티 현지 사정이 계속 악화돼 1월 14일 아이티의 여행경보단계를 2단계에서 3단계로 격상하고 국민들의 철수를 권고했다.

    아이티 지진이 일어난 지 불과 닷새 뒤인 1월 18일, 과테말라에서 봉제업체를 운영하던 송태백 씨가 피랍됐다. 송 씨는 피랍 15일 만에 수도 인근 야산에서 시신으로 발견되었다.  납치범으로 추정되는 신원미상의 남자들이 18일부터 21일까지 여러 차례 회사와 지인에게 연락해 몸값 150만 달러를 준비할 것을 요구했다. 수차례 협상 끝에 1월 24일 몸값 일부를 전달하였으나 송 씨는 결국 시신으로 발견됐다. 과테말라 경찰은 2월 11일 한국인 2명을 포함한 용의자 7명(군인 1명, 경찰 4명)을 체포했다.

    2월 15일에는 시베리아 알타이주에서 유학생 강 某 씨가 괴한들에게 피습당해 숨졌다. 이어 3월 7 모스크바에서는 심 某 씨가 거리에서 괴한의 습격을 받아 중상을 입었다.

    2월 27일에는 칠레산티아고 남방 약 500km에서 규모 8.8도의 강진이 발생해 800명 이상이 사망하고, 공항시설 파손, 통신 두절, 단전, 단수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칠레의 피해액은 300억 달러로 추정됐다. 칠레 정부는 이 지역에 ‘대재난 사태’를 선포하는 한편 피해복구를 위해 군 병력 1만7000여명을 투입했다. 당시 칠레 거주 우리국민은 2,400여 명이었지만 인명피해나 심각한 재산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월 4일에는 30만 톤 급 석유운반선 ‘삼호드림호’가 인도양에서 소말리아 해적들에게 피랍됐다. 당시 삼호드림호에는 우리 국민 5명 외에도 필리핀인 19명 등 모두 24명이 탑승하고 있었다.

    이때 정부는 ‘해적단체와는 협상하지 않는다’는 국제사회의 원칙을 견지하는 한편, 피랍자의 신속하고 안전한 석방을 위해 납치단체-선사 간 협상을 측면 지원하였다. 삼호드림호는 피랍 216일 만인 11월 7일 몸값 950만 달러를 지불하고 선원 전원이 석방됐다. 삼호해운은 이 사건의 여파로 결국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2010년 6월에는 키르기즈스탄 남부 오쉬시 및 발랄아바다 지역에서는 키르기즈스탄과 우즈벡 민족 간 분쟁이 발생해 약 100여명의 사상자와 수백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외교부는 긴급 전세기를 투입해 오쉬주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 85명중 74명을 수도 비슈켁으로 7시간 만에 대피시켰다.

    10월 9일 새벽(현지시간) 케냐 라무 지역 연안에서 우리 국민 2명도 승선해 조업 중이던 케냐선적 어선 ‘금미 305호’가 소말리아 해적에 의해 납치됐다. 이들은 2011년 2월 9일에야 몸값을 지불하고 석방됐다.

    2011년에도 일본 대지진, 중동 반정부 시위 등 혼란은 계속

    2011년 벽두에는 중동의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면서 긴장이 고조됐다. 처음은 이집트였다. 이집트의 반정부 시위가 1월 25일 발생,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체류 중이던 우리국민 1,300여 명(교민 900명, 여행객 400명)의 철수작전이 시작됐다. 이 중 철수를 희망하는 900여명은 철수를 완료했다. 당시 차량 파손 등 피해가 발생했으나 인명피해는 없었다. 당시 외교부는 2월 2일 이집트발 대한항공 특별기를 증편해 우리국민 213명을 철수시키기도 했다.

    이집트에 이어 2월 15일에는 리비아 동북부 벵가지에서 시작된 반정부시위가 2월 17일 ‘분노의 날’ 시위 이후 확산되면서, 사상자가 속출했다. 2월 21일에는 자위야 신한건설 현장에 현지인이 무장 난입하여 우리 근로자 3명이 부상당하는 등 인적․재산 피해 사례가 생겼다. 이후 사태가 계속 악화되자 정부는 우리 국민 1,400여 명의 철수 작전을 실시했다.

    2011년 1월 15일에는 우리국민 8명이 승선한 화학물질 운반선 ‘삼호주얼리호’가 아라비아해에서 소말리아 해적에 피랍됐다. 피랍선박에는 우리국민 8명 외에 인도네시아인 2명, 미얀마인 11명 등 모두 21명 타고 있었다. ‘삼호주얼리호’는 1월 21일 청해부대의 ‘아덴만의 여명 작전’으로 피랍선원 전원이 구출되었다.

    2011년 2월 22일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에서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 우리 국민 2명(남매, 유학생)이 숨졌다. 당시 외교부와 駐뉴질랜드대사관은 대사관 홈페이지, 페이스북, 트위터를 통해 현지 상황과 긴급 상황 시 대응방안을 수시로 알리고 駐뉴질랜드 대사관과 오클랜드 분관에서 각각 1명의 영사를 현지에 파견해 피해 상황 확인 및 현지 경찰과 협조체제 구축하는 한편, 23일에는 실종자 부친과 함께 신속대응팀을 파견해 실종자 신원확인 및 장례절차를 지원했다.

    3월 11일 일본 동북지방에서 규모 9.0의 대지진이 발생, 1만4,000여 명이 숨지고 1만3,660명이 실종됐다. 이때 우리 국민도 5명이 숨졌다.

    외교부는 지진 발생 직후 제2차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상대책본부를 설치하고 일본의 모든 공관과 24시간 비상대책 체제를 운영했다. 영사콜센터는 10여명의 인력을 추가로 투입, 폭주하는 민원(전화, 이메일, SNS 등)에 대해 24시간 상담 체제를 구축했다. 신속 대응팀은 지진 발생 직후 파견되어 31회에 걸쳐 642명의 우리 국민 안전지역 대피 이동조치, 피해교민 소재 및 신원 파악(총 1,040건 접수 중 1,035건 확인조치), 총 23건(38명)의 우리국민 구조 조치를 취했다. 또한 외교부는 여행경보단계 격상과 후쿠시마 원전 인근 거주 국민 대피 권고를 지속적으로 행했다.

    4월 21일 스페인에서 싱가폴로 향하던 파나마 선적 대형 컨테이너선 ‘한진텐진호(7만5,000톤 급)’가 소말리아 동쪽 약 460마일 해상에서 선박보안경보(SSAS) 발신 후 연락이 두절된 채 멈춰섰다. 정부는 즉시 청해부대를 현장으로 급파하고, 청와대에서는 관계부처 대책회의를 열어 국방부, 외교부, 합참, 국정원, 국토해양부 관계관이 참석한 가운데 군사 구출작전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강구했다. 같은 날 오후 4시 25분 경 ‘한진텐진호’에 접근한 최영함이 청해부대 UDT 대원 16명을 진입시킨 후 오후 7시 경 선원 20명 전원이 무사한 것을 확인한 뒤 안전지대로 대피시켰다.

    4월 30일에는 우리 선원 4명이 승선한 싱가포르 선적 화학물질 운반선 ‘MT제미니호(2만989톤 급)가 인도네시아에서 케냐로 항해하던 중, 케냐 몸바사항 부근 해상에서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되었다. 이 선박에는 한국인 4명, 인니인 13명, 중국인 5명, 미얀마인 3명 등 모두 25명이 타고 있다.

    정부는 현재 재외동포영사국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제미니호 피랍 대책본부’를 꾸리고 사태를 주시하고 있다. 다만 제미니호가 우리나라 국적이 아닌 탓에 협상은 싱가포르 측에서 주도하도록 했다. 대신 싱가포르 당국과 긴밀히 협조해 사태를 해결할 계획이라고 한다.

    사고 후 대응보다 개인의 예방이 더 중요

    이상은 2010년 1월부터 2011년 4월 30일까지 있었던 재외국민 관련 사건사고 중 가장 큰 것들만 추린 것이다. 백주현 해외동포영사국장은 “해외에서 사건사고를 당하는 우리 국민이 연간 7,000여 명에 달한다”고 답했다.

    외교부는 영사콜센터 확대와 함께 신속대응팀 등을 운영하고, 청와대 등 정부 또한 선박 피랍, 지진 피해 등에 있어서는 ‘비상대책본부’를 꾸리는 등 대처하고 있으나, 각 개인이 당하는 모든 범죄까지 막아줄 수는 없는 상황이다.

    때문에 외교부 관계자들은 ‘사고 예방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한다. 국민 개인이 ‘해외여행정보’를 평소에 잘 살피고, 해외여행 전 해당 국가에 대한 배경지식과 현재 상황 등을 잘 살피는 것이 안전한 해외여행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게 외교부 관계자들의 조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