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런 이용하는 중국인 학부모에게 들어봤더니사설 인터넷 강의, 영어캠프, 오디오북 무료수강으로 성적 '껑충'"내성적인 아이가 학교생활도 달라져"
-
- ▲ ⓒ서울런 홈페이지 캡처
"학원 안 가고 서울런으로 충분히 다 커버됐어요. 우리 애 성적이 '중간' 정도로 따라가는 수준이었는데 지금은 많이 올랐습니다."서울의 한 초등학교 5학년생 딸을 둔 어머니 A씨(45)는 자녀 교육이 늘 걱정이었다. 중국에서 한국으로 건너온 지 20년 째. 다문화 가족으로 넉넉하지 못한 형편 때문에 학원비 부담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하지만 2년 전 '서울런'을 접한 뒤에는 사정이 달라졌다. 교과 전과목을 서울런과 연계된 밀크티로 공부하면서 딸의 성적이 눈에 띄게 향상된 것. A씨는 "새 학기 전에 선생님이 학교에서 어떤 교재, 어떤 출판사를 사용하는지 물어보고, 그 교재에 맞게 매일매일 숙제를 넣어줬다"며 "지금은 성적이 올라 평균 90점 정도 받고 있다"고 말했다.방학 기간 무료로 참여할 수 있는 원어민 영어캠프도 큰 도움이 됐다고 한다. "솔직히 외국인 선생님 수업이 비싼데, 서울런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선정돼 너무 좋았다"고 후기를 전했다.한국어가 능숙하지 않은 가족에게 서울런에서 제공하는 '독서' 강의는 빼놓을 수 없는 콘텐츠다. "요즘 애들이 책을 잘 안보는데 윌라 오디오북에서 같이 듣고, 딸이 재미있다고 하면 도서관 가서 책으로 다시 빌려 본다"며 "우리 가족이 한국어 발음이 서툰데 같이 배우고 있다"고 했다.서울런으로 바뀐 건 딸의 학교 성적뿐만이 아니었다. 정서적 측면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A씨는 "아이가 내성적이고 활발하지 않아서 친구를 사귀기가 어려웠다"며 "그런데 서울런을 하고 나서는 자신감이 생기면서 학교생활이 많이 좋아졌다"고 덧붙였다. -
- ▲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서울런 2주년 성과보고회에 참석했다. 2023.12.18. ⓒ뉴시스
실제로 지난해 서울연구원이 서울런 이용자 635명을 조사한 결과, 학교 성적이 '상'이 됐다는 응답은 15%에서 36.1%로 21.1%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하' 비율은 33.2%에서 5.1%로 감소했다. 또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성, 수업태도 등에서도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이 같은 성과가 나타나면서 서울런을 이용하는 다문화 가정 회원 수는 2022년 2327명에서 2023년 3208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앞으로도 서울런을 계속 이용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A씨는 "우리 집에서 길 건너면 광명인데, 그 친구들은 서울런을 신청하지 못해서 저를 너무 부러워한다. 서울시에서 제공해 주면 계속 이용할거다. 이것만큼 좋은 게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