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 홍준표’가 아닌 ‘인간 홍준표’의 고뇌와 아픔, 정치적 결단의 순간에서 겪은 갈등 등을 담담하게 담은 책 ‘홍도는 잘 있느냐(실크로드)’가 28일 출간된다. 저자는 27년간 홍 의원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하는 이필형 프리덤코리아포럼 사무총장. 프리덤코리아포럼은 2
연간 2만 명이 지원해 단 1%만 합격하는 대학, 생긴지 10년도 채 안 되었지만 세계 최고로 꼽히는 대학, 생각하는 방법을 모르면 다닐 수가 없는 대학, 바로 ‘미네르바 스쿨’이다. 하버드나 캠브리지보다 합격이 더 어렵다는 ‘미네르바 스쿨’에 진학한 19살 학생이 그
언론인 고 장기봉 전 신아일보 사장의 생애와 사상을 조명한 <오강 장기봉 평전>의 출판기념식이 6일 코리아나 호텔 3층 사카에 홀에서 열렸다.평전은 정운종 전 경향신문 논설위원이 편저하였고, 이날 열린 출판기념식은 김용발 신아일보 사우회장(메디팜헬스뉴스 발행
[신간] '강민구 변호사의 인생연애상담' 박영사 刊
"오랜 법조인 생활을 하는 동안 많은 케이스들을 통해 남들보다 다양한 세계를 간접적으로 접할 수 있었다. 이런 직간접의 경험들은 돈을 주고도 살 수 없는 나만의 귀한 자산이기도 하다."'강민구 변호사의 인생연애상담' 저자 강민구 변호사는 책을 쓰게 된 이유를 이같이 말
우한코로나 사태로 해외여행이 막힌 지 1년이 다 돼 간다. 다행히 백신 보급으로 올해 안에는 나라 간 막혔던 여행길이 되살아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오랜만에 풀리는 해외여행길, 사람들이 잘 모르는 해외의 전쟁 박물관으로 떠나는 건 어떨까. 여기에 그 가이드북이 있다.
다큐멘터리 영화 '김일성의 아이들'의 제작 스토리를 담은 책이 나왔다. 영화와 동명의 논픽션 기록물 '김일성의 아이들' 역사에서 버림받고 잊혀진 존재로 살아가야 했던 동유럽 1만 명 북한 전쟁고아들의 이야기를 휴머니즘 관점에서 기록했다. 저자 김덕영 감독은 체
이런 분 덕분에 오늘날 대한민국이 있는 것
1950년 6월25일 일어난 한국전쟁. 많은 사람이 이 전쟁을 잘 아는 듯 말하지만,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사실이 많다. 최근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에 보관된 각종 문서를 바탕으로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한국전쟁 관련 사실을 정리한 책이 나왔다.
건국대통령 이승만은 평생 말과 글로 독립운동과 정치외교를 해낸 보기 드문 인물이다.어려서부터 시를 지었고 배재학당에선 학생회보인 <협성회보>를 창간, 기사와 논설을 쓴 주필이었고, 23세 때 이미 한국 최초의 일간신문인 <매일신문>과 <제국신
이승만을 만나고, 그의 학문 인생이 바뀌었다
'거대한 생애' 뒤에 '거대한 연구'가 있다. 우남 이승만―. 그를 두고 '거대한 생애'를 이야기한다. 그게 누구든 육중한 무게를 지닌 한 인물의 생애는 각고의 노력에 의해서만 만들어진다. 혁명가로서, 지식인으로서, 신앙인으로서, 외교가로서, 전무후무한 혼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