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9일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에 업무보고 받아 국가유공자 의료 접근성·의무복무자 합당 대우 지시경찰·소방관 국립묘지 안장 범위 확대 검토도 당부
  • ▲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으로부터 업무보고를 받고 있다. ⓒ뉴시스
    ▲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으로부터 업무보고를 받고 있다.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에게 업무보고를 받고 국가유공자에 대한 합당한 대우를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9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에서 "미래 세대가 올바른 국가 정체성 가지도록 보훈 교육을 활성화하라"면서 "국민 안전을 위해 헌신한 경찰관과 소방관의 국립묘지 안장 범위 확대를 검토해야할 것"이라고 했다. 

    또 윤 대통령은 국가유공자의 의료 접근성을 높일 것과 함께 6·25 참전국과 연대를 통한 보훈 외교 강화를 당부했다. 청년 의무복무자와 제대 군인이 합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대책 마련도 지시했다. 

    이에 보훈처는 ▲보훈의 역사를 널리 알려 국가정체성 확립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의 불편과 어려움을 해소 ▲참전국과의 연대를 확고히 하여 자유민주주의 가치 수호 ▲청년 의무복무자 및 조기전역군인의 사회복귀 적극 지원 등을 4대 핵심과제로 선정하고 업무보고에 나섰다. 

    박민식 처장은 "보훈대상자에 대한 보상·예우 중심의 전통적 보훈의 역할을 선진국 위상에 걸맞게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해 혁신적으로 재설정해야 한다"며 "국민의 일상을 지키는 제복근무자 및 청년의무복무자, 미래세대 등 일반국민에게 다가서는 정책을 펼칠 것"이라고 했다.

    국가정체성과 관련해서는 미래세대들에게 독립·호국·민주의 역사를 알리고, 국가를 위한 희생·공헌을 새길 수 있는 대한민국의 상징공간 조성을 추진한다. 대통령실 앞에 조성될 용산공원에 호국보훈공원을 조성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협의를 이어가겠다는 것이다. 

    청년 의무복무자와 조기 전역군인에 대한 사회복귀 지원 사업도 진행된다. 

    먼저 보훈처는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위주로 되어 있는 현행 제대군인법을 개정해 병역의무를 이행한 청년을 위한 국가와 지자체의 지원근거를 마련할 방침이다. 

    또 제대군인지원센터를 제대군인에 특화된 교육·상담 거점으로 활용하고, 중·장기 뿐 아니라 단기복무 장교·부사관도 취·창업 지원을 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