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WSJ]에 보도된 자유북한 운동가 박상학 [대북전단] 막는 대한민국 경찰…이해 못한 해외언론
  • ▲ 박상학 대표의 대북전단 살포를 형상화한 삽화.ⓒ켄 폴린(월스트리트저널)
    ▲ 박상학 대표의 대북전단 살포를 형상화한 삽화.ⓒ켄 폴린(월스트리트저널)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는 역사상 가장 잔혹한
    북한의 [김씨 3대 세습 정권]을 비판한 공로로
    5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바츨라프 하벨상>을 수상했다.

    <바츨라프 하벨상>은 체코 공화국 대통령의 이름인데 
    약자의 힘을 보여준 사람에게 수여한다.

    박 대표는 1999년 북한을 떠나 대한민국의 품에 안겼다.
    2003년 그의 탈북 때문에 삼촌 두 명이 북한 정권에 의해 고문당해 죽었다.
    이 소식을 들은 박 대표는 [반북 운동]에 투신하기로 결정했다.

    "삼촌들이 고문당해 죽었다는 사실을 알고 난 뒤,
    뭐라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 박상학 대표


    박 대표는 2004년 <자유북한운동연합>을 창설하고
    대북전단을 헬륨 풍선에 넣어 북한으로 날려보내는 운동을 시작했다.

    전단에는 <북한은 살기 좋은 나라도 아니고 자유롭지도 않으며
    독재정권 하에서는 자유와 번영은 불가능할 것>이라는 메시지가 담겨있다.

    2008년 박 대표는 미국의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만났고 이를 계기로
    국제사회에 그의 활동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세계에서 북한의 [김씨 3대 세습 정권]의 횡포를 알리는
    박 대표의 활동에 반대하는 세력은 딱 두 곳이다.

    대한민국과 북한이다.

    박 대표는 지난달 29일 파주에서 풍선에 전단, USB, 사탕을 실어
    북한으로 띄울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날 박 대표는 실랑이 끝에 경찰에 연행돼
    여섯 시간 동안 구금됐다가 무혐의로 풀려났다.

    이 사건은 대한민국 정부가 자유북한운동에
    어떤 압력을 가하는지 국제사회에 여실히 보여준 사건이다.

    이날 박 대표와 함께 동행한 미국 언론<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 5일 칼럼을 통해 이 상황을 상세히 보도했다. 

    아래는 박 대표를 취재한 <월스트리저널>의
    데이비드 페이스 기자의 칼럼 전문이다.


    <THE WALL STREET JOURNAL-THE WEEKEND INTERVIEW>

    북한의 <제1호 처단 대상> 박상학

    반체제인사가 보내는 전단과 USB가 담긴 풍선이 북한 정권을 격분시키고 있다.
    한국 역시도 그의 활동을 탐탁지 않게 여기고 있다.


    데이비드 페이스
    파주, 대한민국
    2013년 7월 5일


    박상학 대표와 DMZ를 향해 가는 것은 안절부절 못할 만큼 긴장된 경험이었다.

    지지자들로부터 ‘파이어볼(불덩어리)’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탈북자 출신의

    박 대표는 북한 정권으로부터 ‘1호 처단 대상’으로 낙인 찍혀 2년 전
    대남간첩의 독침 암살의 위험에 놓이기도 했다.

    여름에 들어선 이 날 아침,
    박 대표는 김씨 독재 정권을 격노하게 한 그의 활동
    – 전단과 USB, 그리고 초코파이 등을 넣은 풍선을
    은둔된 왕국의 억압받는 북한 주민들에게 보내는 일을 계속할 것이라 약속했다.

    그에 대한 대답으로 북한 정권은
    “대역죄를 덧쌓고있는 인간쓰레기들을 물리적으로 없애버리”겠다고 약속했다.

    조선인민군은
    “임진각 – 남북을 가로지르는 DMZ근처로 박 대표가 자주 대북 전단을 살포하는 곳 – 이
    서부전선사령부의 직접적인 조준타격권 안에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도 경고했다.

    보통은 북한의 협박을 엄포 정도로 치부해버리지만,
    국경을 향해 차를 타고 가는 일은 또 다른 정신의 집중을 요구했다.

    남쪽에서 올라가는 고속도로는 양쪽 모두 교통량이 적었고 철조망과 감시초소,
    그리고 확성기로 임진강변에서 분리되어 있었다.

    그러나 대북전단 살포 장소에 도착하자,
    박상학 대표에게 또 다른 반대 세력이 있음을 명백하게 알 수 있었다.

    바로 박 대표가 벌이는 상공을 통한 인도주의 운동을 막으려
    수백 명의 경찰을 배치한 한국 정부였다.

    경찰 측에서는 박 대표가 국내 언론에 기자회견은 가질 수 있도록 했지만
    픽업 트럭에서 사복 경찰이 세 열로 둘러싸서 길을 막았다.

    박상학 대표는 그 사이를 밀치고 나가려 했으나,
    경찰이 오히려 더 밀고 들어왔다.

    다른 살포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 박 대표가 천천히 트럭을 전진시킨 순간,
    엄청난 실랑이가 벌어졌다.

    제복 경찰에 사복 경찰까지 더해진 인원은
    박상학 대표를 비롯한 다른 인권 운동가들 – 대부분이 박 대표와 같은
    탈북자 출신으로 15년 전 탈북한 경우도 있었다 – 에 맞섰다.

    최근 탈북한 사람들은 사진이 찍혀 그 신분이 노출되면
    북한에 두고 온 가족들이 정치범 수용소로 보내지거나
    사형까지 당할 수 있기 때문에 손수건으로 얼굴을 가린 채였다.

    우울하고 혼란스러웠던 상황은 박 대표가 경찰차에 밀어 넣어진 채
    파주 경찰서로 이송되면서 끝났다.

    그날 오후 그는 풀려났지만,
    세계에서도 가장 발달한 민주국가 중 하나인 한국이
    무언가 잘못되고 있다는 인상은 뚜렷이 남았다.

    이틀 후 그를 다시 만났을 때 박 대표는
    “대북 전단 살포는 자유로운 시민으로써 할 수 있는 합법적인 시민 운동”이라고
    (통역을 통해) 말했다.

    그러나 그가 연행된 사실은
    “북한 정권의 협박과 위협이 국제 사회에서 제대로 통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박 대표에 따르면 특히 한국에서는 정권의 교체에도 불구하고
    국경 너머에서 일어나고 있는 참혹한 인권 유린을 정부가 나서서
    무시하려 한다는 것이다.

    북한에서 태어난다는 것은 역사상 가장 잔인한 전체주의 나라에서
    한 평생을 살아야 한다는 종신형을 선고 받는 것과 같다.
    언론의 자유나 종교의 자유는 없다.

    정부의 허가 없이는 여행도 할 수 없으며,
    국경 경비대는 국경을 넘는 사람을 즉시 총살해도 좋다는 명령을 받았다.

    20만 명 이상이 ‘관리소’라 불리는 구소련 식의 노동 수용소와 비슷한
    정치범 수용소에서 죽어가고 있으며 백만 명 이상이 그 곳에서
    죽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자가용을 가진 사람도 거의 없고 10퍼센트의 아파트에만 냉장고가 있으며,
    1990년 중반 기근으로 총 인구의 10퍼센트가 넘는 사람들이 굶어 죽었다.

    7살 어린이의 평균 신장은 한국에 비해 20 센티미터 이상 작고
    체중도 10킬로그램 덜 나간다고 한다.

    박상학 대표는 한국으로 온 2만 5천 여명의 탈북자 중 한 사람으로,
    김씨 독재 정권의 정보 독점을 깨트리기 위해 풍선을 보내고 있다.

    한국의 자유로운 민주주의를 극찬하는 내용과 함께 전단 안에는
    북한의 통치자들에 대한 걸러지지 않은 사실들,

    예를 들어 1948년에서 1994년까지 그의 통치기간 동안 두었던
    정부(情婦)들에 대한 이야기 등이 담겨 있다.

    USB에는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민중의 힘”을 보여주는
    사건들과 뉴스, 영화, 또 (특히) 드라마에 드러난
    한국의 삶에 대한 정보들을 북한 주민들에게 알려주고 있다.

    박 대표에 따르면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는 말은
    북한에서도 역시 사실이나, 그 정보를 가진 자에게만 통한다고 한다.

    “한국 정부나 미국 정부가 전쟁을 일으키기를 원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라고
    그는 못박았다.

    “우리는 (북한) 정권이 진실을 알게 된 북한 주민의 손으로 변화될
    그 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것이 2천 4백만 북한 주민을 자유롭게 할 유일한 방법입니다.”

    북한 내부의 움직임을 통한 정권의 변화라는 전략은
    1998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 정부가 추진한 “햇볕 정책” 시기에는
    분명하게 거부되었었다.

    한국 정부는 김일성의 후계자인 그의 아들 김정일이 외부의 세력이
    그 정권을 무너뜨리기 위해 어떠한 일도 하지 않을 것임을 알게 되면
    핵무기에 대한 관심을 버리고 내부 통제를 완화할 것이라 믿었다.

    그래서 한국 정부는 김정일과 정상회담을 가지고 경제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동시에 인권 문제를 무시했다.

    그러나 “햇볕”은 북한 정권이 핵을 포기하게 만들지 못했고
    한국의 유권자들은 선거를 통해 그 정책을 두 번이나 거부했다.

    그러나 5년 간의 보수적인 정권 동안에도 박상학 대표의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으며,
    그 사이 그는 7번째인지 8번째인지 모를 연행과 체포를 당했다.

    “한국 사람들은 북한과 한국이 한 가족이고, 한 민족이며,
    같은 문화를 공유한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그 모든 건 말 뿐이고
    실제로 느끼거나 믿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라고 그는 말을 이었다.

    “많은 한국인들이 한반도가 통일되면 북한을 개발하기 위한
    모든 경제적 부담을 한국이 져야 하고,
    궁핍하고 후진 국가인 북한 때문에 더 많은 세금을 내야만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박 대표는 그와 그 가족과 같은 2만 5천명의 탈북자들의 정착을 돕고 있는
    한국 정부의 노력에 대해서는 인정하면서도
    이러한 의견에 대해 별로 동의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한국의 GDP가 인당 2만 3천 달러”라고 그는 말했다.
    “통일이 되고 북한 정권이 무너지면, 북한 주민들이 한국에 와서 발전된 모습을 보고
    이렇게 물을 것입니다.

    ‘우리가 북한에서 고통받는 동안 당신이 도대체 무엇을 했습니까?’ 라구요.
    그 때 우리는 어떤 대답을 해야 하겠습니까?”

    박상학 대표는 한국 언론이 북한의 새로운 지도자를 다루는 태도에도
    큰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박 대표에 따르면 “한국 언론은 김정은을 북한 매체보다 더 자주 다루고 있”고,
    북한 정권이 전체주의적인 독재 국가가 아니라 정상적인 정부인 것처럼
    언급하는 것을 믿을 수 없다고 했다.

    “그들은 김정은을 공식적인 호칭으로 부릅니다.
    마치 히틀러의 공식 직함과 호칭을 경의를 담아 부르는 것과 같은 일이에요.”

    박상학 대표는 1968년 북한 엘리트 계층의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노동당에서 컴퓨터 기술을 일본을 비롯한 다른 나라에서 훔쳐다
    북한으로 들여오는 일을 담당하고 있었다.

    그의 아버지는 그 일을 통해서 엄청난 양의 달러와 ‘위대하신 수령’ 김일성에게서
    받은 오메가 시계, 또 벤츠 같은 호사스러운 삶을 누리고 살 수 있었고,
    나중에는 대남 간첩을 훈련시키는 정보 부서 책임자로 승진도 했다.

    그러나 1999년 당시 도쿄에 있던 그의 아버지는 탈북을 결심하고
    주민들이 굶주림으로 죽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가족에게 알리며
    김씨 독재 정권을 돕는 일은 사람들에게 죄를 짓는 일이라 말했다.

    그러나 31살의 당 간부를 목표를 하고 있던
    박상학 대표는 북한을 떠나지 않으려고 했다고 한다.

    “몇 년 있으면 곧 당 간부가 되어 대단한 사람이 될 것임을 알고 있었습니다.
    군대를 면제 받는 일은 오직 엘리트 계층에게만 허락되는데,
    저도 군대를 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벌써 당원으로 가입이 되어있었으니까요.”
    그는 수입된 토요타 자동차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사회주의 신념을 버리고 자본주의자가 되어버린 아버지를 원망했다”고 회상했다.
    그러나 두 달 뒤 그의 아버지가 몰래 보내온 카세트 테이프에 들은 메시지를 들은 후,
    박 대표에게 세상이 달라 보이기 시작했다.

    그는 “내가 사람들을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 위에 군림하고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깨달았다”고 한다.

    “마치 범죄자가 된 기분이었습니다. 다른 일반 주민들이 고통 속에서 노력한 대가로
    내가 돈을 펑펑 쓰고 사치스러운 삶을 살 수 있다는 게 죄를 짓는 것 같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1999년 8월 9일, 그와 그의 어머니 그리고 다른 두 형제들은
    국경 경비대가 요구한 금액의 10배에 해당하는 돈을 주고 압록강을 건너 중국으로 향했다.

    박상학 대표는 한국에 도착한 뒤 서울대학교에서 일했고,
    바로 반북운동을 시작한 것은 아니었다고 한다.

    2003년 자신의 탈북 때문에 삼촌 두 명이 북한 정권에 의해 고문당해 죽었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 그는 반북 운동에 투신하기로 결정했다.

    그의 사촌들은 꽃제비들이 되었고, 지금까지도 생사를 알지 못하고 있다.

    “그 사실을 알고 난 뒤,” 그는 “뭐라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고 한다.
    2008년 박 대표는 미국의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만났고 이를 계기로
    국제사회에 그의 활동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박 대표는 아직까지 한국의 대통령과는 만난 적이 없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부시 정권이 2008년 북한을 테러 지원 국가에서
    제외한 것에 대해서는 여전히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박상학 대표는 북한에 관해 인권 유린 보다는
    핵문제로 더 많이 인식하고 있는 미국인들에 잘못이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그에 대해서는 오히려 한국 정부를 나무랐다.
    “만약 집에 불이 붙었는데, 집 주인이 별로 신경 쓰는 것 같지 않아 보이면
    다른 사람들이 와서 불을 꺼주기를 바랄 수는 없는 것 아니겠습니까.”

    박상학 대표는 이번 주 박근혜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하는 동안
    중국 정부에 강제북송정책을 중단할 것을 공식적으로 요청하지 않은 점을 지적했는데,
    이렇게 강제북송 된 북한 주민들은 정치범 수용소에 투옥되거나
    더 심한 일을 겪기도 한다고 한다.

    그 동안 워싱턴에서는 북한은 여전히 테러 지원 국가에서 제외된 상태이며,
    미국 정부는 김정은 정권과 협상을 다시 시작하기를 원한다고 말하고 있다.
    박상학 대표는 경고하듯 말했다. “그들은 여러분을 속이고 또 속일 겁니다.”

    하지만 그는 인터뷰가 끝날 무렵 한 가지 위안이 되는 말을 해주었다.
    그가 진행하는 대북 전단 살포는 대부분 사전 공지나 카메라 세례 없이
    비공개로 이루어지며, 한국 정부도 이를 막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일기가 좋고 후원자들의 모금으로 충분한 자금이 마련되면,
    한 해 30~40 차례에 걸쳐 박상학 대표가 날린 20만장의 전단을 담은 풍선이
    은둔된 왕국을 향해 날아간다.

    한 장 한 장의 전단이 모두 북한 정권에게는 큰 위협일 것이다.
    그렇게 나약한 정권은 절대로 오래가지 못한다.

    [Park Sang Hak]: North Korea's <Enemy Zero>

    Sending balloons aloft with leaflets and memory sticks,
    a dissident enrages Pyongyang.
    South Korea isn't too happy with him either.

    By DAVID FEITH
    Paju, South Korea
    July 5, 2013

    It's nerve-racking to drive toward the North Korean border with Park Sang Hak.

    Called "Fireball" by his admirers,

    the North Korean-born Mr. Park is designated
    "Enemy Zero" by the Pyongyang regime,

    which two years ago sent an agent into South Korea
    to assassinate him with a poison-tipped pen.

    On this summer morning,
    he promises to do again what so infuriates the Kim dictatorship—
    launch large balloons into North Korea carrying leaflets,
    computer-memory sticks and sweets for the oppressed people
    of the hermit kingdom.

    In return, Pyongyang promises to
    "physically eliminate the kind of human scum that commits such treason."

    Adds the North Korean military:
    "The U.S. and the present puppet authorities of South Korea should not
    forget even a moment that the Rimjin Pavilion"—Mr. Park's favorite launch site
    near the Demilitarized Zone separating the two countries—"
    is within the range of direct sighting strike" of the Korean People's Army.

    North Korean threats are generally discounted as bluster,
    but driving toward the border has a way of concentrating the mind.

    The highway from the South carries little traffic in either direction
    and is separated from the Imjin River by barbed-wire fences,
    guard towers and civil-defense loudspeakers.

    Yet once we arrive at the balloon-launch site,
    it becomes clear that Mr. Park has a different antagonist to contend with:
    South Korea, which has deployed a few hundred police
    to stop his airborne humanitarian mission.

    The police let him speak to assembled local media,
    but when Mr. Park tries to retrieve his balloons from a pickup truck,
    three rows of plainclothes officers block the way.

    Mr. Park tries to push through, but the police push back.
    When he tries to drive the truck slowly through the cordon
    to a different launch site, a large scuffle breaks out.

    Shoving matches pit uniformed and plainclothes police against
    Mr. Park and fellow activists—most of whom, like him,
    are native North Koreans who defected to the South sometime in the past 15 years.

    The most recent defectors wear handkerchiefs to cover their faces,
    because their identification in photos could mean imprisonment or
    execution for family members left behind.

    The grim, chaotic scene ends when Mr. Park is shoved into
    a police car and driven to the Paju Police Station.

    He is released later that day,
    but not without a reinforced sense that something is rotten in
    one of the world's most prosperous democracies.

    "Launching balloons is legal activism that I can do as a free citizen,"
    he tells me (through an interpreter) when we meet again two days later.

    But his arrest shows that "the threatening and blackmailing by
    the North Korean regime work well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especially in Seoul, he argues,
    where successive South Korean governments have played down
    the catastrophic human-rights abuses across the border.

    To be born in North Korea is generally
    a life sentence in the world's cruelest totalitarian state.
    There is no freedom of speech or worship.

    North Koreans can't travel without official permission,
    and border guards have shoot-to-kill orders for anyone trying to flee.

    More than 200,000 languish in kwalliso,
    political prisons akin to Stalin's gulag,
    where more than one million have died.

    Almost no one owns a car, only about 10% of apartments have refrigerators,
    and some 10% of the population died of starvation in the mid-1990s.

    The average 7-year-old is 8 inches shorter
    and 22 pounds lighter than peers in South Korea.

    Mr. Park is one of roughly 25,000 North Koreans to escape
    and get to the South, and his balloon launches aim to
    break the information monopoly held by the Kim family.

    In addition to praising the South's liberal democracy,
    the leaflets reveal unflattering truths about Pyongyang's rulers,
    such as Kim Il Sung's craving for mistresses during his reign from 1948-94.

    The digital memory sticks inform North Koreans about the world,
    including "people power" movements and life inside South Korea
    as captured by news articles, movies and (especially) soap operas.

    The idea, says Mr. Park, is that even in North Korea
    "the truth can set you free"—but only if you have access to it.

    "We don't wan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or the U.S. government to start a war," he says.

    "What we're waiting for is to change the [Pyongyang] regime
    by the hands of North Koreans who are educated with the truth...
    That's the only way we can give freedom to the 24 million people in North Korea."

    This strategy of pursuing regime change from within was explicitly rejected by
    South Korean leaders during the "Sunshine Policy" years of 1998-2008.

    Seoul believed that Kim Il Sung's successor,
    his son Kim Jong Il, would lose interest in nuclear weapons
    and loosen his grip at home if he saw that no outside forces were
    working to oust his regime.

    So South Korean presidents feted him at summits,
    gave him economic benefits, and ignored human rights.

    "Sunshine" didn't stop North Korea's nuclear drive,
    and South Korean voters have since rejected it twice at the polls.

    But five years of conservative leadership in Seoul haven't made life easier for
    Mr. Park, who can't recall whether his latest arrest is number seven or eight.

    "South Koreans like saying that we are all in the same family,
    same ethnic group, we share the culture—but they're just saying that,
    not really feeling it or believing it," he says.

    "Many South Korean people think that when the Koreas are unified,
    they will have to take all the economic burden for developing North Korea,
    which is deprived and underdeveloped, so will have to pay more taxes for that."

    Mr. Park has little sympathy for this dollars-and-cents concern,
    even as he acknowledges South Korea's efforts to resettle 25,000 defectors,
    including him and his family.

    "The GDP of South Korea is $23,000 per person," he notes.
    "After reunification, after the North Korean regime collapses,
    the North Korean people will come and see this affluence and
    they're going to ask you, 'What did you do when we were suffering back in
    North Korea?' What kind of answer should we give to them?"

    The problem is visible, says Mr. Park,
    in how South Korean journalists report on North Korea's new dictator.

    "They mention Kim Jong Un even more than North Korean media," he says,
    sounding incredulous and adding that reporters
    in the South speak of Pyongyang as if it were a normal government,
    not a totalitarian tyranny.

    "They call Kim Jong Un by his formal names...
    It's like calling Hitler by his full rank and title, to pay respect."

    Park Sang Hak was born in 1968 into the elite of North Korean society.
    His father was a senior official in the Workers' Party with responsibility
    for smuggling computer technology into North Korea from Japan and elsewhere.

    The work earned Mr. Park's father riches—large amounts of U.S. currency,
    an Omega watch from "Great Leader" Kim Il Sung,
    even a Mercedes-Benz—and eventually a promotion
    into the intelligence directorate responsible for sending spies into South Korea.

    But he decided to defect in 1999,
    while stationed in Tokyo, telling his family that with North Koreans starving to death,
    to aid the Kim regime was a crime against the people.

    The younger Mr. Park didn't want to leave,
    since at age 31 he was a rising bureaucrat on the make.

    "I knew that within a few years I was going to be a member of the Party,
    which is really prestigious.

    I didn't even serve in the military—which is allowed only for elites—
    but I still got the membership." He owned a car, an imported Toyota.

    "I blamed my father for abandoning his faith in communism and
    becoming a capitalist," he recalls.

    But over a two-month period,
    as he listened to a taped message sent secretly by his father,
    young Mr. Park began to see things differently.

    "I felt for the first time that
    I wasn't working for people but rather reigning over people," he says.

    "I felt like a criminal.
    I felt guilty for spending a lot of money and having a luxurious life
    based on the efforts and miserable lives of ordinary citizens."

    On Aug. 9, 1999, he, his mother and two siblings defected across the
    Yalu River into China, having pleased the border guards with 10 times the usual bribe.

    Once in South Korea, Mr. Park didn't immediately take up
    the anti-Pyongyang cause, working instea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is spur to activism came in 2003,
    when he learned that as a result of his family's defection,
    the regime had tortured his uncles to death.

    His cousins had become street beggars,
    and to this day he doesn't know if they are alive.

    "After I learned of that," he says, "I had to stand up and do something."

    Still, he has some gripes with the U.S.,
    especially the Bush administration's 2008 decision to remove
    North Korea from the list of state sponsors of terrorism.

    But Mr. Park doesn't fault Americans for thinking of North Korea
    more as a nuclear threat than a human-rights violator.

    For that he blames South Korea:
    "If your house is on fire, and you don't care much about it and run away,
    you can't expect other people to extinguish it for you."

    Mr. Park notes that South Korea's president visited
    China this week without publicly pressing Beijing to stop
    repatriating defectors to North Korea,
    where they face imprisonment or worse. In Washington,

    meanwhile, North Korea remains off the terror-sponsor list,
    and U.S. officials want to resume negotiations with the Kim regime.

    "They're going to deceive you again and again and again," Mr. Park warns.

    At least he offers some consolation as our conversation ends:
    Most of his balloon launches take place in secret—without advance notice or
    the glare of cameras—so the South Korean authorities let them proceed.

    Thus 30 to 40 times a year, when wind conditions are favorable and
    donors provide sufficient funds, Mr. Park launches 200,000 leaflets northward
    toward the hermit kingdom.

    Each one is considered a threat by Pyongyang.
    No regime so fragile can last fore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