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2006년 10월 1차 핵실험을 강행했을 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원국들은 소집된지 30분도 안돼 일제히 북한을 비판한 것으로 5일(이하 현지시각) 밝혀졌다.

    그러나 안보리의 대응 방식에서는 미국을 비롯한 다른 회원국과 중국ㆍ러시아 간에 생각이 달랐던 것으로 드러났다.

    폭로전문 웹사이트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비밀전문에 따르면 유엔은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한 2006년 10월9일 아침 안보리를 긴급 소집했고 15개 회원국 모두 북한의 행위를 성토했다.

    비공개로 진행된 회의에서 회원국 모두 비판적인 입장을 내는데는 30분이 채 걸리지 않았다.

    존 볼턴 당시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안보리 제재 이행을 위한 구속력을 규정한 유엔헌장 7장을 인용하면서 결의안 채택과 이를 논의하기 위한 실무자 회의를 당일 오후에 갖자고 제안했다.

    볼턴 대사는 "이처럼 심각한 도발행위에 대해 안보리는 결의안 채택으로 신속 강력하게 대응해야 한다"면서 안보리 회원국 대사들이 들을 수 있도록 유엔헌장 7장의 조항들을 직접 읽어 내려갔다.

    그는 또 한국과 일본은 미국의 동맹국인 만큼 이들 국가에 대한 공격은 미국을 공격한 것으로 간주한다는 말도 했다.

    안보리 회원국 대다수는 볼턴 대사의 결의안 제안을 지지했다.

    영국 대사는 유엔헌장 7장을 통한 안보리의 단호한 대응을 주문했고, 프랑스 대사도 강력한 결의안의 신속한 채택을 통해 안보리가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본과 덴마크, 아르헨티나, 슬로바키아, 탄자니아 등 다른 10개 선출 회원국들도 볼턴 대사의 제안에 찬성했다.

    하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의 행동에 비판과 유감을 표시하면서도 안보리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는 명백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중국 대사는 북한의 핵실험을 `심각한 사건'으로 규정하고 중국은 분명히 반대한다면서도 안보리의 대응은 확고하고 건설적이며 신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러시아는 북한이 5∼15 킬로톤의 지하 핵실험을 한 것을 자국이 감지했다고 확인하면서도 북한이 NPT(핵확산방지조약) 체제로 복귀하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며 안보리는 냉정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