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족주의’를 내세운 좌파 일색의 문화예술계에 자유민주주의 기치를 내걸고 나선 문학 미술 연극 영화 등 각 예술분야의 문화예술인 93명이 한 자리에 모였다. 자유민주주의를 근간으로, 이른바 ‘중도보수’를 표방하고 나선 ‘문화미래포럼’이 그들이다. 중견 소설가로 모임의 대표를 맡은 복거일씨를 21일 직접 만났다. 문화미래포럼은 이날 오전 창립대회를 갖고 향후 자유민주주의에 입각한 본격적인 문화운동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복 대표는 노무현 정부의 문화정책에 불만을 토로하는 것으로 말문을 열었다. 문화계 인사에서부터 예산 집행 과정에까지 그 편파성은 이루 말할 수 없다는 것이다. 복 대표는 “노 대통령은 경제에만 신경써라, 문화쪽은 우리가 알아서 하겠다”는 말로 노 정부 문화정책 집행 과정상의 불만을 표출했다.

    복 대표는 우선 노 정부의 문화예술계 편파적 지원 문제에 대해 구체적 언급을 꺼리면서도 “정부는 선의라 더라도 지원을 받는 문화예술인들은 정부 눈치를 살피지 않을 수 없다. ‘돈줄’이 정부면 정부 눈치를 살필 수 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정부가 (‘돈줄’을 쥐고 있으니까 문화예술인을) 위축시키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도 했다. 정부가 입맛에 맞는 문화예술이나 단체에 편파적 지원을 통해 사회문화적 기현상을 야기했다는 설명이다. 이것이 현재 우리사회 문화예술계의 위기라고 복 대표는 진단했다.

    복 대표는 이어 “현 정권은 문화계 인사문제에서도 너무 편파적”이라면서 “누가 봐도 이해 못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인사 예산 문제 등에서 편파적이다 보니, 문화예술인들이 좌편향적으로 접근하려하고, 그러다 보니 나라의 근간인 자유민주주의의 뿌리가 흔들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것이 자유민주주의를 기치로 내건 ‘문화미래포럼’의 창립 배경이고, 자신이 참여해 대표를 맡은 이유라는 것이다.

    복 대표는 이어 ‘문화미래포럼’이 좌파 일색의 문화예술계에 자유민주주의를 기치로 내걸고 나섰다는 점에서 정치와의 연계가능성이 이는 데 대해서는 “예술은 본질적으로 정치적이다. 이는 철학적인 차원에서 그렇다는 얘기”라면서 “우리는 현실정치와는 거리를 둔다. 그렇지 않으면 (회원들에게) 몰매맞는다”고 말했다.

    복 대표는 이와 함께 민족예술인총연합(민예총)이나 민족문학작가회의 등 소위 ‘민족’을 내세운 진보단체들의 활동이 두드러진 문화예술계의 모습에 대해서도 한마디 했는데 “자유민주주의는 어느 사이엔가 시민들의 의식에서 멀어졌고 대신 ‘닫힌 민족주의’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면서 “‘닫힌 민족주의’의 강조는 사람의 넋을 자유롭게 해야 할 문화와 예술이 스스로 굴레를 쓰는 일”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