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정원 "우크라 파병 북한군, 최소 100명 사망·1000명 부상"

    국가정보원이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 투입된 북한군 100여 명이 사망하고 1000여 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북한이 러시아에 추가 파병을 강행할 수 있다고 보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국정원은 19일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간담회에

    2024-12-19 김희선 기자
  • "美와 그 추종 세력들의 적대 행위" … 北, 서방 측 러 파병 규탄 성명에 '적반하장'

    북한이 최근 한국과 미국, 일본을 비롯한 10개국과 유럽연합(EU)이 북러 군사 협력을 규탄한 데 대해 강력히 반발했다.19일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관영 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정상적인 협력 관계의 본질을 왜곡하고 비방·중상하는 '공동성명'이라는 것을 조작 발표하

    2024-12-19 전우석 기자
  • 北 인권결의, 유엔서 20년 연속 채택 … 北 "미국과 동맹국의 악랄한 모략"

    북한이 자행하는 인권 침해를 규탄하는 내용의 '북한인권결의'가 유엔총회에서 20년 연속으로 채택됐다.17일(현지시각) 유엔총회는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북한인권결의안을 별도의 표결 없이 컨센서스(전원 동의) 방식으로 채택했다. 이로써 북한인권결

    2024-12-18 전우석 기자
  • 정부, 대북 독자 제재 발표 … '우크라 파병' 北 장성 등 11명·기관 15개 포함

    정부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견된 북한군 장성과 대북 지원에 관여한 단체들에 제재를 가했다.17일 외교부는 북러 간 불법 군사 협력과 북한의 핵‧미사일 자금 및 물자 조달에 관여한 개인 11명 및 기관 15개를 대북 독자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이번 독자 제재는

    2024-12-17 전우석 기자
  • 美, 러 파병 관련 北 장성·탄도미사일 개발 관련 인사 제재

    미국이 북한의 러시아 지원군 파병과 탄도미사일 개발 지원 등에 관여한 북한의 군 고위급 인사와 단체들에 제재를 가했다.16일(현지시각)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북한에 금융과 군사 지원을 한 개인 9명과 단체 7곳을 제재했다. 국무부도 북한의 탄도미사일

    2024-12-17 전우석 기자
  • 尹 탄핵 소추 이후

    北, 이틀 만에 尹 탄핵안 가결 보도 … "괴뢰 한국서 대통령 권한 정지"

    북한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가결 사실을 이틀 만에 보도했다.16일 북한 관영 매체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은 "괴뢰 한국에서 지난 14일 윤석열 괴뢰에 대한 탄핵안이 가결됐다"고 전했다.이어 "국회에서 야당 의원들에 의해 두 번째로 상정된 윤석열 탄핵안에 대

    2024-12-16 전우석 기자
  • 美, 올해도 北 테러지원국 지정 … "국제 테러 행위 반복 지원"

    미국 정부가 북한을 테러지원국 지정을 올해도 유지하기로 했다.국무부는 12일(현지시각) 발표한 '2023년도 국가별 테러 보고서'에 북한을 비롯해 쿠바, 이란, 시리아 등 4개국을 테러지원국으로 명시했다.국무부는 보고서에서 2017년 재지정 결정에 대해 "북한

    2024-12-13 조문정 기자
  • 北, 연이틀 韓 탄핵 정국 보도 … '내부 결속' 위해 선전 무리수

    북한이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탄핵 정국에 대해 이틀 연속으로 보도하며 대남 비난 공세를 본격화하는 모양새다.12일 북한 관영 매체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은 "괴뢰 한국에서 비상계엄 사태의 진상이 점차 밝혀지면서 윤석열 괴뢰의 탄핵을 요구하는 항의의 목소리가 연일

    2024-12-12 전우석 기자
  • 러 철도공사 "북러, '주3회 정기운행' 여객열차 16일부터 재개"

    북한과 러시아를 오가는 여객 열차의 정기 운행이 오는 16일부터 재개된다.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러시아 철도공사(JSC RZD)는 10일(현지시간) 텔레그램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발표에 따르면 북한 두만강역과 러시아 하산역을 오가는

    2024-12-11 조문정 기자
  • 北, 비상계엄 사태 첫 보도 … "괴뢰 한국 땅 아비규환, 국민에 총칼"

    북한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와 그에 따른 탄핵 정국에 대해 처음으로 보도하며 대남 비난공세를 폈다.11일 북한 관영 매체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은 "심각한 통치 위기, 탄핵 위기에 처한 윤석열 괴뢰가 불의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파쇼 독재의 총칼을 국

    2024-12-11 전우석 기자
  • '국방부 장관 평양 무인기 침투 지시' 의혹에도 반응 않는 北

    비상계엄 사태 발생 후 일주일이 지났음에도 북한은 여전히 이에 관한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10일 오후까지 북한 대외 관영 매체인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은 관련 소식을 일절 전하지 않았다. 또 지난달 이후 거의 매일 가까이 보도하던 한국 내 윤석열 대통령 퇴진 집회

    2024-12-10 전우석 기자
  • 北 내부 군 고위 소식통 인용

    "北 총참모부, 韓 계엄령 후 군간부 비상소집 … 국회 의한 해제에 더 놀라"

    북한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 군 고위 간부들을 비상 소집했다는 증언이 제기됐다.6일 북한 전문 매체 '데일리 NK'는 북한 내부 군 고위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 총참모부는 윤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한 후 약 30분 뒤인 밤 11시쯤 군 고위 간부들을 평양시

    2024-12-09 전우석 기자
  • '두 국가론' 선언한 北, 다음 달 개헌 논의 예고 … 통일·영토 조항 담길까

    북한이 내년 1월 최고인민회의를 열고 헌법 개정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6일 북한 관영 매체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북한은 5일 개최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제14기 제34차 전원회의에서 내년 1월 22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2차 회의를 소집

    2024-12-06 전우석 기자
  • 계엄 해제 이후

    '尹 퇴진' 주창하던 北, 비상계엄 사태에는 '묵묵부답'

    비상계엄 사태로 연일 후폭풍이 이어지는 가운데, 북한은 이에 관한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5일 오후까지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 등 북한 관영 매체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와 해제 등에 대한 사안을 보도하지 않고 있다.북한은 그간 윤 대통령을 '괴뢰'로 지칭하고

    2024-12-05 전우석 기자
  • '전쟁 시 즉시 지원' 북러조약, 4일부터 효력 발생 … 비준서 교환 완료

    북한과 러시아가 상호 관계를 군사동맹 수준으로 격상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북러조약)이 공식 발효됐다.북한 관영 매체 조선중앙통신은 "두 나라 국가수반이 평양에서 서명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러시아 연방 사이의 북러조약의 비준서가 4일 모스크바

    2024-12-05 전우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