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금감원 '지연 배경'·'외압 가능성' 주시
-
- ▲ ⓒ뉴데일리DB.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를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을 둘러싼 금융당국의 늑장 대응까지 수사 범위를 넓힐지 주목된다. 핵심은 당시 금융감독원이 해당 의혹을 알고도 왜 신속히 대응하지 않았는지, 그 판단에 정치적 고려가 있었는지 여부다.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실 관계자는 "내주 중 특검에 (삼부토건 관련) 금융당국의 늑장 대응에 대해 국회에서 나온 의혹과 자료를 취합한 의견서를 전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삼부토건은 지난해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을 명분으로 주가를 급등시킨 뒤 주식을 매도해 차익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당시 삼부토건 주가는 1000원대에서 두 달 만에 5500원까지 폭등했다. 전·현직 회장, 대표이사 등이 허위정보를 유포해 투자자를 속인 뒤 보유 주식을 매도했다는 것이 주요 의혹이다.특히 이 과정에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컨트롤타워'로 지목된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가 개입한 정황도 있다. 이 전 대표는 주가가 급등하기 전 단체 메신저방에 '삼부 내일 체크'라는 메시지를 남겼고, 이를 두고 김건희 여사 연루 가능성이 제기돼 왔다.그러나 시장의 이상 거래에 대한 금융당국의 대응은 한참 뒤늦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2023년 5~6월 급등 당시에는 손을 놓고 있다가 1년이 지난 그해 7월에야 이상거래 심리에 착수했고, 금융감독원도 같은 해 9월에서야 조사를 시작했다. 이 조사 역시 반년 넘게 끌어졌다.이에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금감원이 해당 사건을 금융위나 검찰 등으로 신속히 이첩하지 않았다며 올해 3월 금감원을 항의 방문한 바 있다.결국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는 금감원 조사 결과를 토대로 조성옥 전 삼부토건 회장 등 사주 일가만을 고발했다. 정작 사건의 기폭제가 된 이응근 전 대표와 김건희 여사는 고발 대상에서 빠졌다.현재 특검은 검찰과 금감원으로부터 사건 관련 자료를 전면 이관받아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3일에는 삼부토건을 포함한 6개 법인과 관련자 주거지 7곳을 압수수색했고, 이튿날 이응근 전 대표이사를 불러 조사했다. 수사팀에는 과거 해당 사건을 담당했던 금감원 출신 전문 인력도 합류했다.특검은 앞으로 한국거래소의 이상거래 심리가 1년 넘게 지연된 배경과 함께, 금융당국 내부에서 상부 지시나 외압이 있었는지 여부까지 들여다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건희 여사의 소환 여부와 시점은 향후 수사 상황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