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직무배제" 韓 발언 두고 여당서도 의견 분분윤상현 "헌법·법률 아닌 이상 尹 직무배제 불가"홍준표 "나라 정상화 방안, 尹이 결자해지 하라"
-
12·3 계엄 사태 이후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행보를 두고 여권에서조차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당 안팎에서는 한 대표가 국민이 선출한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배제를 일거에 못박고, 이에 편승해 자칫 '전권'을 휘두르는 것 아니냐는 경계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9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에서는 윤 대통령이 구두로 당에 일임한 '정국 안정 방안'을 두고 해석이 갈리면서 갈등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특히 한 대표가 전날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대국민 공동 담화에서 '정국 안정 방안'으로 제시한 "질서 있는 조기 퇴진"과 "대통령 직무배제"와 관련, 원내 숙의 과정이 충분하지 않았다는 점도 지적받고 있다.국민의힘에서 이른바 '중립지대'로 분류되는 한 의원은 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대통령은 정국 안정 방안을 당에 일임한 것이지 여당 대표가 대통령으로부터 권력을 이양받은 것이 아니지 않느냐"며 "원내와 충분한 논의도 하기 전 국민들 보기에 마치 '권한대행'인 것처럼 행동하는 것은 놀라웠다"고 말했다.이 의원은 또 "'대통령이 정상적 국가 운영을 할 수 없다'거나 '퇴진 전이라도 대통령은 외교 포함 국정에 관여하지 않을 것'이라는 등의 한 대표의 메시지는 안 그래도 불안한 국민들의 감정을 더 자극하는 것으로 보였다"고 평가했다.윤상현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비상의원총회 도중 취재진과 만나 "대통령의 직무배제는 헌법적, 법률적으로 아직 되지 않았다"면서 "정치적 의무의 직무배제"라고 말했다. 한 대표가 전날 윤 대통령에 군통수권이 없다는 취지로 말한 것과 관련해서도 "저는 다르게 생각한다"라며 "국군 통수권을 어떻게 배제하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누구도 헌법과 법률이 아닌 이상 대통령의 권한을 직무배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윤 의원은 전날 한 총리·한 대표 담화문에 대해서도 "(중진들을 중심으로 내부 비판이) 당연히 있다"면서 "대통령이 당대표 한 분에게 국정 안정화 방안을 위임한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한 대표를 향해 "의원총회를 거쳐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지적한 한 윤 의원 이외에도 친윤(친윤석열)계와 비한(비한동훈)계의 속내는 들끓고 있다. 당내에서는 한 대표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면서 한 대표 사퇴론, 비상대책위원회 전환, 나아가 분당론까지 일고 있는 상황이다.다만 친윤계 일각에서는 당내 분란의 현실화를 의식한 듯 현재까지는 공개적 비판을 자제하고 말을 아끼는 모습이었다. 야당이 매주 탄핵안을 발의한다는 공세 앞에 자칫 이탈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다.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당 중진회의 후 취재진과 만나 당내 수습책에 대해 "당내 서로 다른 목소리가 나가는 게 좋지 않아서 여러 가지 있겠지만 이야기를 더 이상 하지 않겠다"고 했다.박덕흠·나경원 의원도 '한 대표의 소통 방식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지 않고 말을 아꼈다. 다만 박 의원은 "우리 중진 의원들이 자주 만나 간담회를 하자(는 이야기가 있었다)"고 말했다.윤 대통령이 직접 결자해지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지금이라도 질서 있는 하야 대책을 내놓고 나라를 정상화 시키는 방안을 찾으시라"라며 "그 방안은 당이 아니라 대통령이 직접 내놓으시라"고 요구했다.홍 시장은 "당대표도 이 사태 책임을 벗어나지 못할 텐데 그에게 사태 수습을 맡기는 것은 정치를 희화화 하는 코메디"라며 "결자해지라고 했다. 그런데 이 사품(일이 진행되는 바람이나 겨를)에도 검·경·공수처가 먹이를 놓고 하이에나 같이 달려드는 것은 세월무상"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