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선 ‘탈레반 홍보영상’ 틀고… 유엔선 “테러조직 명단서 탈레반 빼라” 주장중국 외교부는 “탈레반으로부터 아프간 재건 참여해 달라는 요청 받았다” 공개
  • ▲ 지난 7월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탈레반 정치수장 압둘 가니 바라다르와 만났다. ⓒ뉴시스 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난 7월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탈레반 정치수장 압둘 가니 바라다르와 만났다. ⓒ뉴시스 AP.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프간이 탈레반에게 패망한 뒤 미국을 비롯한 서방진영은 자국민의 무사 철수와 아프간 난민 수용, 테러조직의 부활 등을 두고 긴장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왠지 노골적인 ‘탈레반 편들기’를 하고 있다.

    중국 인민일보, 60초짜리 탈레반 홍보영상 공개했다 삭제

    아프간 패망으로 전 세계가 충격에 빠졌던 지난 16일(이하 현지시간), 중국 관영매체 인민일보는 SNS 웨이보 공식 계정에 ‘60초 만에 알아보는 탈레반’이라는 영상을 공개했다. “탈레반은 엄한 규율과 반부패주의, 상업 회복 등을 주장하며 아프간 최강 세력으로 급속하게 발전해 부정부패한 정부를 쓰러뜨렸다”는 내용이었다.

    반공 중화권 매체 에포크 타임스는 “인민일보 영상을 본 중국인들은 탈레반의 아프간 점령을 사실상 정당화하는 내용 아니냐고 비판했다”고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영상은 실시간 검색어 5위에 오르기도 했다. 웨이보 이용자들은 “당국이 탈레반을 너무 대놓고 선전해준다” 거나 “탈레반을 정당화해주는 것은 비인간적인 행위”라고 비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비난이 거세지자 인민일보는 영상을 이날 오후 7시에 삭제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중국, 유엔 안보리서 “탈레반, 테러조직 명단서 빼야”

    같은 날 아프간 패망을 안건으로 해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에서 중국은 “탈레반을 테러조직 명단에서 빼야 한다”고 주장했다. 겅솽 유엔주재 중국대사는 회의에서 아프간 패망을 두고 “아프간 국민의 뜻과 선택을 존중해야 한다. 현재 국제사회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전쟁에 짓밟힌 아프간의 평화와 질서를 회복하는 것”이라며 이 같은 주장을 폈다.

    한편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같은 날 정례브리핑에서 탈레반의 아프간 점령을 두고 “아프간 인민의 선택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화춘잉 대변인은 이어 “탈레반으로부터 아프간 재건에 중국이 참여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이를 환영한다”고 밝혀 탈레반과 밀착 관계에 있음을 내비쳤다.

    중국전문가 진펑 "아프간 패망이 인민의 선택? 일제 침략도 중국인 선택이었냐"

    중국의 탈레반 편들기를 두고 해외의 중국학자들이 비판하고 나섰다. 에포크 타임스에 따르면, 중국 정치·경제전문가로 알려진 ‘친펑’이 특히 중국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자신의 유튜브를 통해 “탈레반의 승리를 아프간 국민의 선택으로 보는 중국의 시각은 매우 비논리적이며 도덕성이 결여됐다”고 비판했다.

    “탈레반 정권에 반대하면 아프간 국민이 아니냐”고 반문한 친펑은 “중국인들도 실은 이런 주장에 익숙한데 중국 공산당이 자신들의 집권을 ‘중국 국민의 선택’이라고 선전해온 것과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런 주장은 전형적인 강도의 논리”라며 “정권 무력찬탈이 ‘국민의 선택’이라면, 제2차 대전 당시 일본의 중국 점령도 중국인의 선택이냐”고 비꼬았다.

    친펑은 또한 “탈레반의 배후에는 파키스탄, 카타르, 그리고 중국이 있다”며 “중국 공안기관은 과거 중동 테러조직을 훈련시켜왔고, 탈레반 조직원도 훈련시켰다”고 주장했다.

    해외서 비판 거세지자…중국 “테러와 결별해야, 정권 승인은 그 다음”

    서방진영이 잇달아 탈레반 정권을 승인하지 않겠다고 밝히고, 중국인들 사이에서도 친펑와 유사한 주장이 퍼지자 중국 당국도 탈레반 편들기의 수위를 조절하는 모양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8일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은 탈레반의 행동을 주시하고 있다”며 “탈레반이 테러조직을 단호히 배격하고, 아프간의 영토를 이용해 이웃나라의 안전을 위협하는 어떤 세력도 허용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철저히 지키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아프간에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정권이 들어서기를 바라고 있으며, 외교적 승인(정부 공식승인)은 그 다음 문제”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