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한동훈 盧재단 계좌 추적" 주장 황희석 벌금 500만원

재판부 "개인에 대한 악의적이거나 경솔한 공격을 한 것"

입력 2023-06-02 21:38 수정 2023-06-02 21:38

▲ 황희석 전 열린민주당 최고위원. ⓒ뉴시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노무현재단 계좌를 추적했다는 취지로 발언해 명예훼손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황희석(56) 전 열린민주당 최고위원이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서울동부지법 형사5단독 신서원 판사는 2일 오후 정보통신망법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명예훼손) 혐의 선고공판에서 황 전 최고위원에게 벌금 500만원을 선고했다.

황 전 최고위원은 한 장관이 총선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노무현재단 계좌 거래내역을 추적했다고 허위 사실을 적시한 혐의를 받는다.

황 전 최고위원은 민변 출신이다. 문재인 정부에서 법무부 인권국장을 역임하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시절 검찰개혁 추진단장을 맡았다. 21대 총선에 열린민주당 비례대표 8번으로 출마, 낙선했다.

그는 2021년 11월 TBS 유튜브 채널 '국회 앞 유정다방'에 출연해 "(검찰이) 2019년 9∼10월 노무현재단 계좌 추적으로 거래내역을 다 열어봤다"면서 "그 과정에서 신라젠을 통해 유시민 전 재단 이사장을 잡으려고 채널A 기자와 정보를 공유해 소위 검언유착했다"고 주장했다.

2019년 당시 한 장관은 전국 특별수사를 지휘하는 대검 반부패·강력부장으로 재직 중이었다. 그는 노무현재단이나 유 전 이사장의 계좌를 추적한 적이 없다며 2021년 12월 황 전 최고위원을 고소했다. '채널A 사건'으로 불리는 이 전 기자의 강요미수 혐의 사건은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무죄가 선고됐다. 이후 검찰이 상고를 포기해 무죄가 확정됐다.

신 판사는 "피고인이 발언 당시에 피해자 이름을 언급했고 피해자가 노무현재단 거래내역을 들여다봤다는 단정적 표현을 사용했다"고 판단했다. 또 "(피고인의) 발언 당시 이미 피해자가 해명했고 계좌추적을 의심할 만한 의미 있는 정황이 없었다는 점에서 개인에 대한 악의적이거나 경솔한 공격을 한 것으로 본다"며 사실 적시와 비방 목적을 인정한다고 했다.

다만 "사건 발언 내용 자체는 공적인 관심 사안으로 피해자는 공개적 해명이나 반박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밝힐 수 있는 지위에 있다"고 봤다. 이어 "공적 관심사에 대한 표현의 자유는 중요한 헌법 권리로 최대한 보장돼야 한다는 점을 종합해 형을 정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

이날 재판이 끝난 후 황 전 최고위원은 "노무현재단 거래 내역을 한 장관과 이 전 기자가 공유했다는 건 생각도 해본 적 없는 얘기"라며 "(재판부의) 명백한 사실 오독"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열린민주당은 정봉주·최강욱·손혜원·김의겸 등 민주당 출신 인사들이 몸담았던 민주당계 비례대표 정당이다. 2020년 3월 창당 당시 더불어민주당의 '기생정당'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2021년 12월 더불어민주당으로 합당됐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구·경북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윤서인의 뉴데툰

특종

미디어비평

뉴데일리 칼럼 프린트 버전

총수일가 3.6% 지분으로 기업집단 지배… 해외계열사·공익법인 통한 우회지배도 여전

총수일가 3.6% 지분으로 기업집단 지배… 해외계열사·공익법인 통한 우회지배도 여전

공정위, 82개 공시대상기업집단 주식소유 현황 발표
계열회사 보유 내부지분율 54.7%로 기업집단 전체 지배하는 구조
총수일가 지분율 낮은 기업 두나무>HD현대>카카오順
롯데·장금상선, 국외계열사로 국내계열사 우회·편법 지배
사익편취 규제대상 72개 집단·900개 계열사로 7.8% 증가
공정위 "긍정 평가 어렵지만, 승계과정서 자금동원력에 한계도"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