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정부는 북한의 핵실험 이후 고조되고 있는 안보 위기 속에서 북핵 문제의 진전을 위한 동력을 강화하는 데 외교력을 집중할 전망이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21일 발표한 국정과제에서 북핵문제의 진전을 위한 동력 강화를 '튼튼한 안보와 지속가능한 평화 실현'을 위한 중요한 과제 중 하나로 꼽았다.

    구체적으로는 북한의 핵실험 대응과 관련해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를 강화하고 미국, 중국 등 관련국과의 조율을 거쳐 비핵화 협상의 여건 조성을 추진한다는 복안이다.

    아울러 한·미·중 3자 전략대화를 단계적으로 가동, 북핵문제 해결에 동력을 불어넣고 유엔과 유럽연합(EU) 등 국제사회와의 협력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새 정부는 "6자회담 재개 및 비핵화 프로세스를 진전시키겠다"는 세부 추진계획을 밝힘으로써 장기공전 중인 6자회담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또 외교분야 국정과제로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과 유라시아 협력확대'도 우선순위로 꼽았다.

    '동북아판 헬싱키 프로세스'로 불리는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서울 프로세스)을 추진함으로써 신뢰를 구축하고 새로운 동북아 질서를 창출한다는 복안이다.

    남·북·러, 남·북·중 등 이른바 북방 3각 협력을 추진하면서 아세안(ASEAN) 및 남아시아와 유럽연합(EU) 및 중앙아시아와의 협력을 확대, 유라시아 3각협력 구도도 강화키로 했다. 기존의 4강(四强) 외교에서 나아가 외교의 폭을 유럽과 중앙아시아 등으로 넓혀나가겠다는 의지가 읽힌다.

    박 당선인이 유럽 및 다자통으로 꼽히는 주철기 전 프랑스 대사를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으로 내정한 것도 유럽 등과의 다자외교를 강화하겠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분석된다.

    한일관계 안정화에 대한 의지도 눈에 띈다.

    새 정부는 영토문제는 역사문제 차원에서 원칙에 따라 단호히 대응하되 일본과 호혜적 협력관계 구축을 위한 노력도 병행할 계획이다.

    이 밖에 한미원자력협정과 방위비분담금 협정 등 한미간 당면 현안의 원만한 해결을 주요 추진계획 중 첫손에 꼽은 점은 눈여겨볼 대목이다.

    박근혜 정부 5년간의 한미관계는 민감한 현안의 원만한 해결 여부에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경제외교와 공공외교, 중견국 외교, 재외국민 안전강화, 일자리 외교 등의 분야는 공약집에 비해 내용이 구체화됐다.

    이를 위해 '글로벌 FTA 네트워크 강화', '국민행복 영사서비스 프로젝트', '글로벌청년 프로젝트' 등의 방안이 추진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