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회에 출석한 윤병세 외교장관의 모습. 윤병세 외교장관은 지난 5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일본군 성노예'에 관한 작심 발언을 해 국제적인 관심을 얻었다.
    ▲ 국회에 출석한 윤병세 외교장관의 모습. 윤병세 외교장관은 지난 5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일본군 성노예'에 관한 작심 발언을 해 국제적인 관심을 얻었다.

    지난 5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윤병세> 외교장관이 작심하고 한 [위안부는 일본군 강제징집 성노예]라는 발언 이후
    일본 언론들이 호들갑을 떠는 모양새다.

    6일 오후, 외교부 정례 브리핑에 참석한 일본 언론들은
    <윤병세> 외교장관의 [일본군 위안부 성노예] 발언과 관련해,
    한국 외교장관이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최초로 공식발언을 한 점을 부각시키면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물타기]를 시도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이에 외교부는
    [일본은 한국 외교장관이 왜 첫 공식발언으로 위안부 문제를 거론했는지 모르냐]고 반문했다.

    “한국을 포함,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본 나라들,
    美의회, 국제사회, 유엔 등이 [일본군 성노예] 문제가 엄중한 인권침해사례이고,
    여성의 존엄을 침해하는 행위라는 것을 분명히 하고,
    일본 정부에 조속한 해결을 촉구해 왔다.

    하지만 최근 일본 정부의 발언이나 행동을 보면, 국제사회 요구와는 정반대로 가고 있다.
    최근에도 그렇다. 일본 정부의 고위 관계자, 그것도 후세 교육을 맡고 있는 사람이
    [일본군 위안부는 날조]라는 발언을 했다.
    이런 일본 정부의 잘못된 인식과 행동 때문에
    <윤병세> 외교장관이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일본군 성노예] 발언을 한 것이다.”


    외교부의 설명에 한 일본 언론 소속 기자가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를 해야 하는 게 아니냐]고 묻자,
    외교부 대변인은 [이미 모두 사실로 드러난 일에 대해
    한국 외교부가 왈가왈부할 필요가 없다]고 받아쳤다. 

    “일본 정부가 2차 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부, 성노예 등에 대해 이상한 말을 하는데
    지금 생존해 있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생생한 증언을 못 믿는다는 말 아니냐.
    현재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관련 국가들의 입장, 유엔 인권조사관의 보고서 등을 봐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명백한 사실이다.”


    외교부 대변인은 2007년 미국 하원에서 채택한
    [일본군 위안부] 관련 결의안 일부를 소개하기도 했다.

  • ▲ 3.1절, 서울 순화동 주한 일본 대사관 앞에서 애국단체들이 펼친 퍼포먼스. 현재 일본 아베 정권의 망동은 한미일 삼각동맹을 해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 3.1절, 서울 순화동 주한 일본 대사관 앞에서 애국단체들이 펼친 퍼포먼스. 현재 일본 아베 정권의 망동은 한미일 삼각동맹을 해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1930년대부터 2차 대전에 이르는 일본의 아시아 태평양 식민통치 기간 동안
    일본군이 위안부로 알려진 성노예를 운영한 것에 대해,
    일본 정부는 모호한 방법으로 부정하지 말고 공식 인정하고 사죄해야 한다.
    일본 총리도 공식적으로 위안부 문제를 사과해야 한다.
    1930년대부터 2차 대전 동안 일본군에 의한
    조직적인 성노예 운영과 인신매매가 있었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인정해야 한다.…(하략)”


    외교부는 [일본 정부가 미래를 향해 나아가려면 태도를 바꾸라]고 주문했다.

    “한국을 포함 일본군 위안부, 성노예 문제를 제기하는 관련 국가와 국제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일본을 비판하기 위함이 아니다.
    일본 정부가 역사적인 잘못을 인정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의지,
    앞으로 나아가려는 행동을 취하기를 촉구하는 것이다.
    일본 정부 당국자들이 위안부 문제의 핵심을 정확히 인식하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외교부는
    <윤병세> 장관의 유엔 인권이사회 발언 이후 일본 측은 회의에서의 [재반론]만 할 뿐,
    외교 경로 등을 통해 별도의 대화 제안과 같은 반응은 보이지 않고 있다고 전하며,
    일본 정부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